작성자 천천히
작성일 2012-05-04 (금) 09:33
ㆍ추천: 0  ㆍ조회: 1139      
http://slowstep.org/home/?slowstep.130.21
“ 예배 때 가운을 왜 입나요? ”
 

예배 때 예복(가운 / 이하는 예복이라 한다.)을 입는 사람들이 누구인가 생각해보니까 대부분의 교회에서 목사, 장로, 성경 봉독자, 봉헌위원, 찬양대원들입니다. 우리에게 전혀 낯설지 않은 그림이 그려집니다. 하지만 왜 예복을 입는가를 생각해보면, 그 답이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일어나는 해프닝이 있습니다. 특히 찬양대원들이 입는 예복에서 그런 일이 일어나는데, 예복이 연극의 소품으로 주로 등장한다는 사실이지요. 심지어는 급할 때 걸레 대용으로 쓰는 경우도 보았으니까요. 주로 어린이나 청소년 찬양대원들의 경우, 예복에 대한 전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에 예복이 1년 내내 교육관 곳곳에 흩어져 있는 모습도 보게 됩니다. 부끄러운 일이지만 우리가 반드시 고쳐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게 된 데에는 우리가 예배 때 왜 예복을 입어야 하는지 그 전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예복을 입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 예(禮)를 갖추어 하나님께 영광을 드리는 동시에, 하나님의 사랑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와 성령의 교통하심을 나타내기 위함입니다. 그러니까 예복은, 입는 사람의 권위를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는 말입니다. 다시 말해서 하나님 앞에서 우리의 죄악 된 모습을 가리며, 하나님께서 은혜로 주신 정결한 옷을 입는다는 뜻이지요. 그래서 예복은 목사만 입는 옷이 아니라 예배 안에서 평신도도 입을 수 있는 것입니다. 이렇게 해서 입게 되는 예복은 ‘하나님께서 나를 감싸주신다.’는 마음가짐으로 입어야 합니다. 우리는 연약하여 죄에 넘어지고 빠질 수밖에 없지만, 하나님의 은혜와 사랑으로, 하나님께서 맡겨주신 거룩한 일들을 해낼 수 있는 것이니까요.

목사는 예복을 입을 때 자신이 누구라는 것을 더 깊이 느끼게 됩니다. 예복을 입음으로써 자신이 집례자로서, 말씀 선포자로서, 성례(세례와 성만찬)를 행하는 성직자로서, 또 목회자로서 자신의 위상과 사명감을 보다 깊이 느끼게 되겠지요. 또한 평신도가 예복을 입을 때는, 만인사제직의 개신교 정신으로, 예배의 방관자(구경꾼)가 아니라 적극적인 참여자로서 예배에 임한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목사든 평신도든 예복을 입을 때 가져야 할 태도는 ‘겸손한 마음과 복종의 자세와 봉사의 정신’입니다. 우리가 입는 예복은 하나님이 거룩하시다는 사실을 알게 하는 옷이며, 하나님의 신비와 아름다움을 나타내는 옷이니까요.

감리교회는 얼마 전까지 다른 개신교회와 마찬가지로 검은색 예복을 입었습니다. 하지만 검은색은 성서적으로 볼 때 예복이 상징하는 깊은 뜻을 반영하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이제 우리는 신앙적으로 깊은 의미와 내용을 나타내는 흰색의 예복을 입는 것입니다. 흰색은 무엇보다도 예수 그리스도의 순결을 나타냅니다. 그 밖에도 흰색은 그리스도로 인한 기쁨과 빛, 승리와 진리, 완전과 성결, 그리고 영광을 나타냅니다. 또한 우리는 그리스도를 통하여 이루어진 승리와, 그리스도의 부활을 축하하는 의미로 흰 예복을 입는 것입니다.

이제, 예배 때 예복을 입는 이유를 알았으니, 예복을 입는 이들은 더욱 겸손한 마음으로, 감사하는 마음으로, 기쁜 마음으로 예배에 참여해야 할 것이고, 예복을 아끼고 잘 보관하는 일에 있어서도 흐트러짐이 없어야 할 것입니다.

   
  0
3500
올바른 교회 언어 6
    예배,집회,기도회 등을 구별하여 사용해야... 한국교회는 한 주간에도 주일 낮을 비롯하여, 주일 저녁, 수요일 저녁, 금요일 밤, 매일 새벽 등 여러 번의 모임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모임들을 모두 ‘예배’라는 이름으로 부르는 것은 혼동을 가져올 염려가 있으므로, 그 본래의 목적과 의미에 맞게 구별하여 부를 필요가 있습니다. 역사적으로 ‘예배’는 주님께서 죽음을 이기시고 부활하신 날, 즉 주일에...

 [2012/08/15 10:36]
남북평화통일 공동기도주일
  (남북평화통일 공동기도주일을 앞두고 웹 서핑을 하다가 어느 신부님의 글을 퍼왔습니다.)  우리는 덥다고 하고, 더워 죽겠다고 하는데, 북한엔 엄청난 물폭탄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괴로워하고 있다고 합니다. 며칠 전.. 아니 8월 5일자 신문에 조그마하게 나왔던 이야기인데, 이제서야 방송을 하는군요. 그래.. 그들을 도와주면 안 돼. 북한은 우리를 공격했고, 우리의 친구들을 죽였고, 봐봐.. 연평도 포격하...

 [2012/08/11 15:37]
올바른 교회 언어 5
준비찬송은 예배 전 찬송으로... 예배나 회의를 공식적으로 시작하기 전, 예배나 찬송을 인도하는 이가 "다 함께 준비찬송을 하겠습니다."라고 말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적절하지 못한 표현입니다. 찬송은 하나님께 드리는 소중한 것이며, 다른 무엇을 향한 예비 행위가 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럴 경우 찬송은 그 뒤에 따라오게 될 행위, 즉 예배나 회의를 위한 '사전 준비'의 성격으로 전락해버릴 위험이 있습니다. 그...

 [2012/08/09 12:03]
교회 직인
  직인(職印), 공무원이나 회사원 등이 직무상 사용하는 도장입니다.공공기관이나 회사는 아니지만 교회도 공적인 업무가 있기에 직인이 필요합니다.그래서 우리교회도 교회 직인이라는 걸 만들었습니다.당분간 교회 직인을 쓸 일이 많지는 않겠지만, 1년에 한 번을 찍어도 필요한 도장입니다.아마도 불볕달(8월)에 이 도장을 쓸 일이 있을 것 같습니다. 어디에 쓰는 지는 당분간 비밀입니다~!요즘은 이 도장을 인주에...

 [2012/08/03 09:23]
올바른 교회 언어 4
   '예배 봐 준다, 예배 받으세요'는 쓰지 말아야 '개업예배를 봐준다.' '구역예배를 받으세요.'라는 등의 말을 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는 적절하지 않은 표현입니다.예배란,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 사건 안에 나타난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에 대하여 응답하는 인간의 행위입니다.그러므로 예배는, 참여자가 모두 한마음 한뜻이 되어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어 그 자리에 현존하신 하나님께 드리는행위여야 하...

 [2012/07/28 15:32]
올바른 교회 언어 3
    "주님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라는 말은 삼가해야... ‘축원한다.’는 말은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이나 단체를 위하여 어떤 사실이나 내용을 비는 것을 뜻합니다. ‘주님의 이름으로 축원한다.’는 말은, 말 그대로 축원을 하되 ‘주님의 이름으로’ 하는 것을 뜻합니다. 문제는 설교자가 강단에서 이런 말을 할 경우, 듣는 회중이 그것을 ‘설교자의 말’이 아니라 ‘주님의 말씀’으로 혼동할 수 있고, 또 설...

 [2012/07/21 11:00]
올바른 교회 언어2
  성가대는 찬양대로    성가대는 예배 중에 찬송가 또는 성가곡을 부르는 조직체를 말합니다. 본래 교회에서는 예배 중에 하나님을 찬양하는 노래를 '찬양' '찬미' '찬송' 등으로 불렀으며, 기독교의 찬송가를 광범위하게 '성가'라고 부르기도 하였습니다. 그러나 다른 종교에서도 그들의 신을 찬양하는 노래를 역시 '성가'라 하기 때문에, 거룩하신 하나님을 찬송하는 노래를 일반적인 종교의 범주에 넣어 '성...

 [2012/07/14 19:40]
올바른 교회 언어1
  사회자는 집례자로 ‘사회’(司會)는 집회나 회의, 예식 등에서 진행을 맡은 사람을 지칭하는 말입니다. 교회에서도 각종 회의를 주관하는 사람을 사회자라 칭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을 예배하는 신성한 사역에서 그 일을 주관하는 사람을 사회자라고 부르는 것은 적절치 않다 하여 어떤 이들은 국어사전에도 없는 ‘사식’(司式) 또는 ‘사예’(司禮)라는 말을 만들어 쓰기도 합니다. 이것도 올바른 언어 ...

 [2012/07/07 20:36]
미친 사회(?)
 웹 서핑을 하다가 우연히 이 사진을 발견하고서 우리사회가 왜 미쳐가는지를 알게 되었습니다.   어떤가요?.. 정말 우리사회가 미친 것 같지요?..그런데 웃기는 것은 미쳤다는 단어를 좋은 뜻으로 쓰고 있다는 겁니다.'미치다'의 뜻이 뭔지는 아시나요?.. 국어사전을 찾아보니까 이렇게 나와 있습니다. ① 정신에 이상이 생기다. ② 몹시 흥분해 심하게 날뛰다. ③ 정신이 나갈 정도로 매우 괴로워하다. ...

 [2012/06/30 10:10]
가마
가마가 뭔지 아세요?.. 사전을 찾아보니까 우리말에서 '가마'라는 단어는 다섯 가지나 됩니다. 글자는 같은데 그 뜻하는 바가 다른 것, 우리말의 묘미(妙味)입니다. 1.사람을 태우고 갈 수 있도록 만든 조그마한 집 모양의 탈것. 2.곡식 따위를 담을 수 있도록 짚으로 짜 만든 것. 3.숯이나 기와, 벽돌, 질그릇 따위를 구워내는 구덩이 모양의 시설. 4.크고 우묵하게 생긴 솥. 5.사람의 머리털이 한 곳을 중심으로 소용돌이 ...

 [2012/06/26 14:52]
1,,,4142434445



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 남명로 234번길 30 (사리 900-60). admin@slowstep.org / Copyright (c) SlowSte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