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천천히
작성일 2016-03-10 (목) 10:28
ㆍ추천: 0  ㆍ조회: 1165      
http://slowstep.org/home/?slowstep.1216.11
“ 괘종시계(掛鐘時計) ”

주로 태엽을 동력원으로 사용하며 7일, 15일, 1개월, 6개월, 1년에 한 번씩 태엽을 감아준다. 조속장치는 템포를 사용하는 시계도 있으나 대개 진자(흔들이추)를 사용하며, 탈진기는 퇴각식 탈진기와 직진식 탈진기를 사용한다.

시간이 빨라지거나 늦어지면 진자의 추를 내리거나(시간이 늦어짐) 올려서(시간이 빨라짐) 시간을 조정한다. 타종()장치는 시간마다 시간 수대로 종을 치는 방식과 시간마다 종을 치고 겸하여 30분마다 종을 치는 방식이 있다. 또한 15분 간격으로 종 또는 음악 소리를 내는 시계도 있다.

타종방식은 수차식과 락크식이 있다. 중심(분침바퀴)에 부착된 타종 준비낫이 타종장치를 움직여 타종작동이 시작된다. 최근에는 수정전자 벽시계가 보급되어 태엽 대신 건전지를 사용하는 시계가 사용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괘종시계 [wall clock, 掛鐘時計] (두산백과)

 
 
 
 
아내와 가끔 들르는 국수집 벽에 괘종시계가 하나 걸려 있었습니다.

나는 그저 장식품인 줄 알았는데, 제대로 작동하는 시계였습니다.

반갑고 궁금해서 주인장에게 물어보니 100년 가까이 된 일본 사람이 만든 시계랍니다.

그러고보니 어릴적 집집마다 있었던 우리나라 괘종시계와는 그 생김새가 약간 달랐습니다.

태엽을 감아서 작동되는 아주 오래된 시계가 세월이 무색할 정도로 멀쩡한 게 정말 신기해서 한동안 살펴보았습니다.

일본 사람들의 시계 만드는 기술력이 뛰어나다는 얘긴 알고 있었지만 이정도일 줄은 몰랐습니다.

궁금한 건 못 참는 성격이라 일본의 괘종시계 역사를 구글에서 찾아보니 이랬습니다.

 

 

일본에서는 1551년에 프란치스코 하비에르오우치 요시타카에게 괘종시계를 선물한 이래 서양으로부터 시계가 비교적 일찍 도입되었고, 에도 시대에 이르면 일본 내에서 자체적으로 기계식 시계를 제작하기에 이른다. 이를 화시계(和時計)라고 하는데 서양의 시간개념 대신 동양 고유의 시간개념을 도입하고, 타종방법도 달랐다. 이를테면 자정에서 2시까지는 자(子)시이고 9번 타종하며, 2시부터 4시는 축(丑)시이고 8번 타종, 4시부터 6시는 인(寅)시로 7번 타종 식이다. 또한 화시계는 초창기 서양시계의 기술이 그대로 정체된 탓에 분침은 없고 시침만 있는 독특한 점 또한 갖고있다. 타종방식 또한 17세기 영국에서 주로 만들었던 랜턴시계(Lantern Clock)와 같이 망치가 종 자체를 타종하는 식으로 되어있다. - 나무위키

 

 

휴대폰에 담아온 괘종시계 사진을 한참 들여다 보며 생각에 잠겼지요.

100년 가까이 제 역할을 다하며 묵묵히 자기 자리를 지키는 시계도 있는데,

우리 사람들은(나는) 100년도 못 살면서 이리저리 분주하고 시끄럽기만 하구나...

시계는 정확한 시간을 가리키며 자기 일을 분명히 하는데,

우리 사람들은(나는) 하는 일은 많으나 되는 일이 없구나...

 

오늘 하루 이를 교훈 삼아 나에게 주어진 하루라는 시간을 참되게 살고 싶습니다.

 

 

 

   
  0
3500
간절한 기도
  지난 수요일 저녁 기도 시간에는 가슴을 쥐어 뜯으며 기도했습니다. 함께 읽었던 말씀은 하박국서 2장 20절입니다. 1~2장의 결론이 되는 말씀이지요."주님께서는 당신의 거룩한 성전에 계시다. 온 세상은 그분 앞에서 조용히 하여라."교우들과 교회를 위하여 그리고 우리 사회의 정의로움을 위하여 기도하는데, 가슴이 너무 아팠습니다.한 쪽은 우리사회의 잘못된 부분을 이번에는 꼭 고쳐보려고 절규하고 있고, 또 ...

 [2019/10/12 15:16]
시월엔..
체로금풍(體露金風) : 온몸으로 가을 바람을 맞게 된다는 뜻으로, 자신의 본 모습(근본)을 드러낸다는 말입니다. - 벽암록에 나오는 글그러고 보니 태풍으로 시작하는 10월은 산천초목이 옷을 갈아입으면서 본래의  모습을 드러내는 때이고, 교회 안에서도 세계성찬주일과 종교개혁주일을 지키는 의미 있는 달이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10월에는 자연의 변화를 바라보며 나부터 겸손해지고, 신앙적으로도 정체성을 분명...

 [2019/10/02 15:00]
구월엔..
  누구에게나 의미 있는 날은 아니겠지만 주일을 지키는 모든 이들에게 그리스도의 평화가 함께 하길 빕니다.달력을 한 장 넘기며 생각해 봅니다. '우리집 바로 옆에 강이 있어 참 좋다.' 목사관 창문 너머로 펼쳐진 강을 바라보면서 지난 여름 이곳에 오고간 이들을 생각해 봅니다. '흘러 오는 강물처럼 찾아온 이들, 흘러가는 강물처럼 다녀간 이들.. 그들의 얼굴을 떠올리며 이름을 부르고 싶다..'반갑습니다. 고맙습...

 [2019/09/07 17:57]
인간의 마지막 권리
  이 책을 받아들면서 (목회자로 살아온 23년 동안) 앞서 간 이들이 생각났습니다. 한 2백여 분 되는데, 대부분 교우들입니다. 물론 이 분들이 다 기억나는 건 아니지만, 많은 장례를 통해 깨달은 건, 사연(이야기) 없는 죽음이 없다는 것과 의미 없는 삶도 없다는 것이었지요. 그런데 이건 모두 다른 이들의 죽음이었고, 나와 가족의 죽음 앞에서도 나는 이렇게 의연할지 자신이 없습니다. '이런 송구한 마음으로 책을 읽...

 [2019/08/31 18:56]
뜻밖의 선물 (유감)
엊그제 일입니다. 음식점을 운영하는 이웃 아주머니가 저녁 무렵에 목사관을 찾아왔습니다. 부산에 사는 친척이 보내준 건데, 목사님도 한번 맛보라고 조금 가져왔다는 겁니다. 당면이 들어간 어묵 두 봉지였습니다. 그런데 반 쯤 해동된 상태였지요. 어찌됐든 고맙다는 인사를 하고 아주머니를 배웅했고, 당장 맛 볼 게 아니어서 어묵을 냉동실에 넣으면서 보니까 이런, 유통기한이 한 달 정도 지난 어묵이었습니다.. 순간...

 [2019/08/24 18:07]
권총 한 자루
  요즘 미국은 불특정 다수를 향한 총기 범죄가 끊이지 않는데, 사회적 공포와 큰 고민거리가 된지 이미 오래 되었다. 그래서였을까. 친구의 도움으로 나도 나를 위해 권총을 한 자루 샀다. 그것도 중국제로! ㅎㅎㅎ이제는 중국제라고 우습게 보면 안 될 것 같다. 지금껏 사용해 본 권총 중에 최고다. 드라이버, 드릴, 햄머 기능이 있는 이 권총을 강추한다! 그립감도 좋고 파워도 굉장하다."총으로 흥한 사회는 총으로 망...

 [2019/08/17 18:09]
팔월엔..
  무더위가 범상치 않은 8월! 달력의 문구를 보며 생각해 본다..맞는 말이다. 하지만 저게 가장 힘들고 어려운 일이 아닐까. 그래도 8월을 그렇게 살아볼 일이다..              

 [2019/08/10 16:49]
양파 유감
  농사가 너무 잘 돼서 헐값이 되어버린 양파를 바라보며 가슴이 미여지는 농민을 돕기 위해, 10kg짜리 무안산 양파를 한 포털사이트 이벤트를 통해 구입했다. 참 실하다. 그런데 헐값이라니.. 왜 이런 일이 농가에 반복되는 것일까?. 지나친 욕심 때문은 아닐까.. 잘 되면 내 탓, 안 되면 남(정부)의 탓을 너무 쉽게 말하는 사람들의 의식도 함께 변해야 한다. 박정희 때 이미 포기한 농업정책(대한민국은 현재 공업국가), ...

 [2019/07/27 16:31]
슬픈 소식
  어제 늦은 오후에 친구 목사의 남동생이 하나님의 부름을 받고 이 세상을 떠났습니다. 한 여인의 남편이자 아직 어린 자녀들의 아버지, 그리고 감리교 목사인 형을 둔 그는, 촉망 받는 외과 의사였고, 불편한 몸을 이끌고 목회하는 형을 최선을 다해 도왔던 착한 동생이었습니다. 그런 그가 췌장암과 싸우다가 오늘 사랑하는 가족과 사별했습니다..친구와 어렵게 통화가 됐는데, 애써 태연한 체하는 친구의 목소리...

 [2019/07/13 17:44]
칠월엔..
  상선약수! 물은 만물을 이롭게 하고 모든 사람이 싫어하는 곳에 처하며, 오직 다투지 않으므로 허물이 없다. - 노자, [도덕경] 1년의 마루, 7월입니다. 그 어느 때보다 물이 많은 계절, 물을 통해 배우는 달이 되길 바라며, 날마다 열심히 살아보겠습니다.          

 [2019/07/02 09:46]
1,,,11121314151617181920,,,36



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 남명로 234번길 30 (사리 900-60). admin@slowstep.org / Copyright (c) SlowSte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