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천천히
작성일 2024-10-12 (토) 20:10
ㆍ추천: 0  ㆍ조회: 560      
http://slowstep.org/home/?slowstep.3035.21
“ 자다가 깰 때 (로마 13:11~14) ”


 

자다가 깰 때 (로마 13:11~14) - 로마서 묵상 38

 

깨어남(혹은 깨달음)이야말로 종교의 모든 것입니다. 그래서인가요,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깨어있을 것을 틈틈이 가르치셨고, 함께 보낸 마지막 날 밤에도 시험에 들지 않게 깨어있어 기도하라.”(14:34)라고 이르셨습니다. 사람은 깨어있지 않으면 잠들어 있고 잠들어 있지 않으면 깨어있을 뿐, 이도 저도 아닌 제3의 다른 상태는 있을 수 없습니다. 비몽사몽(非夢似夢)이라는 말이 있긴 하지만, 깨어있으면서 잠을 자거나 잠자면서 깨어있을 수는 없는 일입니다. 잠을 자면서도 우리는 먹고 마시고 일도 하고 싸우기도 하는데, 그런 것을 일컬어 이라고 부릅니다. 그런데 꿈에서 하는 일은 모두가 헛일입니다. 음식을 먹어도 배부르지 않고, 출세해도 신상에 아무것도 달라지는 게 없습니다. 그래서 세상에 사는 동안 에서 깨어나지 못한다면, 우리가 하는 모든 일이 허망(虛妄)으로 끝날 것입니다. 전도서를 쓴 사람은 이 사실을 잘 알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헛되고 헛되며 헛되고 헛되니, 모든 것이 헛되도다.”(1:2)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깨어있는 사람은 무엇을 하든지 헛된 것에 빠질 수 없고, 나아가 잘못()을 저지를 수도 없습니다. 깨어있으면 무엇이 잘못인 줄 아는데, 어떻게 잘못을 저지를 수 있겠습니까? 무엇이 잘못인지 안다고 하면서도 잘못을 저지르는 사람은, 깨어있는 사람이 아니라 잠들어 있는 사람입니다. 잠들어 있는 동안에는 자기 몸이지만 자기 뜻대로 움직이지 못합니다. 인간의 몸은 매우 오래된 버릇 덩어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인이 잠들어 있는 동안에 그것()은 버릇에 따라서 움직일 뿐입니다. 그러니 날마다 시간마다 부지런히 움직이고 열심히 일하지만, 자기의 삶을 산 것이 아닙니다. 그런데 버릇은 과거의 산물입니다. 잠에서 깨어나지 않는 한, 우리의 삶(인생)의 주인공 자리를 얼굴도 없는 과거에 내어주고 있는 셈입니다. 그러고서야 어찌 하루인들 살았다고 할 수 있겠습니까? 그래서 공자께서도 아침에 도()를 깨달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고 하셨던 것입니다. 따라서 깨어남또는 깨달음을 말하지 않는 사람이라면, 그는 우리의 종교적 스승이 아닙니다. 아무리 엄청난 기적을 일으킨다고 해도, 그의 몸이 깨달음을 가리키는 손가락이 아니라면, 그에게 속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11 : 천기(天氣)는 분별하면서 시대를 분별하지 못하는 자들을 예수님은 겉만 꾸미는 자들(12:56)이라고 나무라셨습니다. 눈에 보이는 것만 보면서 살면 누구나 그럴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시대의 뜻(징조)을 읽는 일은 언제나 예언자들(하나님의 사람들)의 몫이었습니다. 바울은 하나님의 가르침을 본받아 이 시대를 자다가 깰 때라고 합니다. 이 말에는 두 가지 뜻이 담겨 있습니다. 하나는, 우리가 지금 잠을 자고 있다는 의식입니다. 깨어있는 사람에게는 깨어날 때라는 것이 있을 수 없습니다. 그러면 잠든 사람이 스스로 잠들어 있다고 말할 수 있겠습니까? 논리로는 불가능할지 모르나 실제로는 얼마든지 있는 말입니다. 우리는, 이것은 꿈이라고 생각하면서 꿈을 꾼 경험이 있지 않습니까. ‘자다가 깰 때라는 말에 담겨 있는 또 하나의 의식은, 우리가 영원히 계속될 것으로 알고 있는 현실이 끝나고 새로운 현실이 펼쳐질 것이라는 믿음과 희망입니다. 이제 우리는 잠에서 깨어나 이리로 들어오기 전에 살았던 현실로 돌아갈 텐데, 가 가까이 오고 있다는 것이 바울의 말입니다. 이게 무슨 뜻인가요? 단적으로 말하면, 우리 모두에게 죽는 날이 다가오고 있다는 말입니다. 우리는 태어나는 순간부터 죽음을 향해 다가갑니다. 하루를 살면 그만큼 죽음이 가까워지는 것입니다. 그래서 죽는 날은 우리 몸이 본연의 상태로 깨어나는 날입니다. 그리스도인에게는 그 날이 구원의 날이요, 따라서 죽음은 구원에 들어가는 문입니다. 그러하기에 우리의 구원이 처음 믿을 때보다 가까웠다.”라는 말은, 그만큼 우리에게 죽는 날’, 다시 말해서 깨어나는 날이 가까워지고 있다는 뜻입니다. 운명에서 벗어날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다만, 그날이 영원한 생명으로 들어가는 날일는지 아니면 심판으로 들어가는 날일는지, 속일 수도 없고 속을 수도 없는 것입니다. (요한복음 5:29을 읽는다)

 

12~14 : 하루를 살면 그만큼 밤이 멀어지고 낮이 가까워집니다. 밝은 날에 낭패를 당하지 않으려면, 서둘러 어둠의 행실을 벗고 빛의 행실을 입어야 합니다.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러움이 없는 사람이 곧 군자요 그리스도인이니까요.

 

 

지금 우리는 자고 있습니다. 그러나 자다가 깰 때가 반드시 옵니다. 그날이 영원한 심판의 날이 아니라, 우리의 구원의 날이 되기를 바랍니다. 그런데 그날이 구원의 날이 되려면, 진정한 그리스도인으로 살아야 합니다. 그렇게 살 수 있겠습니까? 내 힘만 갖고는 안 되니, 성령님을 의지하는 자에게 놀라운 힘이 솟아날 줄 믿습니다!

 

 

 

선한 일을 한 사람들은 부활하여 생명을 얻고, 악한 일을 한 사람들은 부활하여 심판을 받는다.” (요한5:29) - 표준새번역


 


   
  0
3500
주 안에서 문안하라 (로마 16:1~16)
주 안에서 문안하라 (로마 16:1~16) - 로마서 묵상 44   16장이 과연 처음부터 바울의 <로마서>에 속한 것이었는지, 아니면 돌려 읽기를 염두에 두고 쓴 (회람용) 편지를 에베소 교회에 보내면서 그곳 신자들에게 문안과 권고(16:17~20)를 첨부한 것이었는지 명확하게 알 수는 없지만, 학자들 사이에 의견이 좀 다릅니다. 그러나 그것이 결정적으로 중요한 문제는 못됩니다. 로마에 있든, 에베소에 있든, 모두 주안에서 한 ...

 [2025/06/14 19:41]
대통령의 약속
<이재명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취임사>존경하고 사랑하는 국민 여러분,여러분이 선택해 주신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이재명인사드립니다.한없이 무거운 책임감과 한없이 뜨거운 감사함으로 이 자리에 섰습니다.5200만 국민이 보내주신 5200만 가지 열망과 소망을 품고오늘부터 저는 대한민국 21대 대통령으로서진정한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을 향한 첫 발을 내딛습니다.미래가 우리를 향해 손짓하고 있습니다.벼랑 끝에 ...

 [2025/06/07 09:20]
대통령 선거
어제에 이어서 오늘과 또 다음 주 화요일까지, 생각이 바른 모든 국민이 투표에 참여하여, 이 나라를 다시 바로 세우기를 바란다. 내란세력 척결!

 [2025/05/30 13:27]
저희가 기뻐서 하였거니와 (로마 15:25~33)
저희가 기뻐서 하였거니와 (로마 15:25~33) - 로마서 묵상 43   지금 바울은, 마게도니아와 아가야 사람들이 예루살렘의 가난한 그리스도인들을 위해 기꺼이 연보(捐補-구제금)를 했는데, 그것을 전해주러 예루살렘으로 가는 길입니다. 여유 있는 이들이 모자라는 이들에게 가진 것을 나누어 주는 모습은 자연스러운 일이고 그래서 아름답습니다. - 가난한 백성의 재물로 고관대작(高官大爵)의 기름진 배를 채우는 것이 폭...

 [2025/05/10 21:51]
당신의 주인은 누구입니까?
오늘 주일 예배 때 전했던 설교 중 앞 부분을 요약해봤습니다.설교를 막 시작하는데, 앞쪽에 앉아 있던 노부부가 티격태격하더군요. 얼른 눈치를 보니, 나이 80대인 남편이 성서 본문을 잘못 찾았다고 70대인 아내가 핀잔을 한 게 발단이 된 겁니다. 그 순간 나도 당황스러웠습니다. 교인 몇이나 된다고, 설교를 시작하는데 부부싸움을 하다니.. 웃어야 할지 울어야 할지, 그냥 속으로 웃었습니다. ㅋㅋㅋ 그래도 나머지 교인들...

 [2025/04/27 23:35]
다시 생각나게 하려고 (로마 15:14~24)
다시 생각나게 하려고 (로마 15:14~24) - 로마서 묵상 42   이제 긴 편지를 마감할 때가 되었습니다. 바울은 자기가 어떤 목적과 동기로 이 편지를 쓰고 있는지 밝히면서 혹시 있을 수도 있는 오해를 미리 막으려 합니다. 그는 자기가 이 편지를 쓰게 된 것이 자기 뜻이 아니요, 주님의 은총이요 명령이라고 말합니다. 바울은 한순간도 자신의 ‘나’(ego)를 내세우면 안 되는, ‘예수 그리스도의 종임을 잊지 않고 살아간 분...

 [2025/04/12 20:33]
너희도 서로 받으라 (로마 15:1~13)
너희도 서로 받으라 (로마 15:1~13) - 로마서 묵상 41   그리스도인은 서로 사랑하고 조화를 이루며 살아야 하는데, 그 이유는 그리스도가 한 분이요, 그리스도인은 그 한 몸의 여러 지체이기 때문입니다. 생각해보십시오. 한쪽 다리가 아프면 다른 쪽 다리가 아픈 다리의 몫을 떠맡는데 아무 불평도 우쭐거림도 없습니다. 저절로 그렇게 되기 때문에 자기가 그러고 있는 줄도 모릅니다. 이것이 바로 이상적인 교회의 모습...

 [2025/03/08 20:39]
먹는 것으로 하나님의 사업을 망치지 말라 (로마14:13~
먹는 것으로 하나님의 사업을 망치지 말라 (로마14:13~23) - 로마서 묵상 40   믿음의 깊이가 자기와 다른 사람, 특히 자기만큼 깊지 못한 사람에 대하여 그를 비판하지 말 것을 권고한 뒤에, 이어서 바울은 그에게 걸림돌이 될 만한 것을 제공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하라고 말합니다.   13~14절 : 아이들이 장난으로 던지는 돌에 개구리는 죽습니다. - 무엇이 어떤 사람에게 걸림돌이 된다면 그 까닭은 ‘무엇’에 있지 ...

 [2025/02/08 22:23]
새해 1월을 시작하며
예배당, 목양실(?), 목사관에 새해 교회 달력을 걸고 이런저런 생각을 해봅니다. 그 생각이란 건 모두 나의 ‘바람’입니다. 1년치 바람을 다 생각한 건 아니고 1월 한 달의 바람만 생각해 보았는데, 그 생각만으로도 내 가슴은 터질 지경입니다.- 지난 12월, 계엄을 빙자한 내란을 일으켰다가 실패한, 내란 수괴를 비롯한 내란에 가담했던 자들에게 엄중한 법의 심판이 있기를- 사악한 자를 대통령으로 세워 온 나라를 혼란스럽...

 [2025/01/02 21:49]
지난 일주일 소고小考
[지난 일주일 소고小考]- ‘국민의 힘 >> 국민의 짐>> 내란의 힘>>국민의 적‘으로 몰락하는 과정을 똑똑히 보았습니다.- 내란에 가담했던 똥별들이 억울하다는 심정으로 인터뷰하는 걸 보면서, 저들이 만약 내란에 성공했다면 어떻게 돌변했을지 생각만 해도 몸소리쳐집니다.- 그래서 지난 12.3 국회에서 계엄령을 막아낸 건 하늘이 도왔다고 여깁니다. 그런데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 하니, 선하고 정의...

 [2024/12/11 12:04]
12345678910,,,47



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 남명로 234번길 30 (사리 900-60). admin@slowstep.org / Copyright (c) SlowSte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