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천천히
작성일 2023-09-09 (토) 15:39
ㆍ추천: 0  ㆍ조회: 20      
http://slowstep.org/home/?slowstep.2867.21
“ 네가 뉘기에? (로마 9:19~33) ”


 

네가 뉘기에? (로마 9:19~33) - 로마서 묵상 28

 

우리에게 일어나는 모든 것이 하나님께서 하시는 일입니다. 그렇게 믿으시나요? - 바로가 그토록 고집을 부린 것도 하나님께서 그렇게 시킨 것입니다(9:17). , 그렇다고 한다면, 도대체 사람이 책망받을 이유가 있을까요? 나아가 하나님께서도 우리 사람을 허물하실 자격이 없으신 것 아닌가요? 바울은 이 질문에 대답할 의무가 있습니다. 그런데 그의 대답은 또 얼마나 엉뚱한가요?

 

19~24 : 요컨대 하나님에 대하여 품은 그런 질문 자체가 있을 수 없는 것이라는 얘깁니다. 이러저러한 이유로 하나님께서 모든 것을 이루시지만, 그 결과로 빚어진 사태를 두고 하나님은 사람을 나무라실 수도 있다는 바울의 말에 합리적인 대답을 기대한 사람이라면, 다시 한번 뒤통수를 맞은 기분일 것입니다. 그러나 어쩔 수 없는 일입니다. 논쟁보다는 진리를 선포하는 일에 매달렸던 바울로서는 그럴 수밖에 없었습니다. - 하나님과 우리 사이의 관계를 이어주는 다리는 이해가 아니라 믿음이요, ‘합리가 아니라 사랑입니다. 사람과 사람 사이도 마찬가집니다. 우리는 흔히 나를 이해해 달라고 말합니다. 또 너를 이해할 수 없다고도 합니다. 그렇게 말하는 사람에게 되물어봅니다. “당신은 당신 자신을 이해합니까?” 아직 이 질문에 그렇습니다. 나는 나를 이해합니다.”라고 대답하는 사람을 만나지 못했습니다. ‘야말로 이해되지 않는 존재라는 것이 우리 모두의 정직한 대답일 것입니다. 그렇다면 당신도 이해하지 못 하는 당신을, 나보고 어떻게 이해하라는 말인가요? ‘이해라는 다리로는 건너가 닿을 수 없는 것이 사람입니다. 하물며 우리가 어떻게 하나님과 그분이 하시는 일을 이해할 수 있겠습니까? (욥기38:1~4)

 

내가 를 이해하지 못하면서도 이렇게 끌어안고 살아가듯이, 우리는 이해되지 않는 또한 받아들여 함께 살아야 합니다. 하나님을 이해의 대상이 아니라 믿음과 숭배의 대상으로 모시면, 누구나 바울처럼 말하고 바울처럼 대답하지 않을 수 없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하나님이 하시는 일에 대하여 가질 수 있는 유일한 태도는, 믿음과 그 믿음을 바탕으로 한 수용입니다. 그 믿음은 우리에게 일어나는 일이 무엇이든, 다 우리를 위해 좋은 일이라는 믿음을 낳습니다. 하나님께서 사랑이심을 믿기 때문입니다. 두려움은 죽음을 낳고 사랑은 생명을 낳습니다. 좋은 나무는 좋은 열매를 맺습니다. 그러하기에 하나님은 우리에게 좋은 것말고는 주실 수 없는 분입니다. 이 하나님을 온전히 믿을 때 우리는 비로소 바울처럼 범사에 감사하고 기뻐하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하나님을 참으로 믿는 사람은, 만물을 통해서 그것을 지으신 하나님을 봅니다. 그의 눈길은 세상에서 벌어지는 모든 일을 살피되, 그것을 관통하여 하나님을 봅니다. 진흙으로 빚은 그릇을 보면서 그것을 빚은 장인(匠人)의 손을 봅니다. 바울은 지금 하나님의 의로우심에 대한 질문을, 까다롭기만 하고 모자랄 수밖에 없는 신정론(神正論)으로 대답하는 대신, 신성한 망치로 그 질문 자체를 깨뜨려 부숨으로써 해결하고 있습니다. 참으로 신나고 놀라운 일입니다.

 

25~33 : 하나님께서는 남과 함께 북을, 동과 함께 서를 지으셨다고 말할 수 있지만, 사실은 그런 것들이 어디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그렇게 이름 지어 가르는 것일 뿐입니다. 모든 것이 하나님한테서 나왔습니다. 그러니 하나님께로 말고는 들어갈 곳이 없습니다. 사람들이 짧은 생각으로 이러니저러니 분별하지만, 하나님 앞에서는 그 모든 분별이 무효입니다. 오직, 인간의 시끄러운 분별 너머에 한 분 하나님이 계실 따름입니다. - 생각해 보십시오. 부딪히는 돌과 거치는 반석을 시온에 두신 분은 하나님이십니다. 그러나 그것에 부딪혀 넘어진 것은 사람입니다. , 이제 대답이 되었나요? 대답이 되었든 안 되었든, 이제 우리가 할 일은, 이스라엘의 어리석음을 되풀이하지 않는 것입니다.

 

하나님을 믿고, 하나님의 사랑을 받아들여, 서로 위해주며 살아가는, 진짜 지혜로운 사람들이 되십시오. 그렇게 사는 삶이 범사에 감사하는 삶이니, 오늘과 이 한 주간 그리고 9월 한 달을 그렇게 살기를 바랍니다.”


 


   
  0
3500
믿음은 들음에서 나며 (로마 10:14~21)
믿음은 들음에서 나며 (로마 10:14~21) - 로마서 묵상 30   사람이 마음으로 믿어 의에 이르고 입으로 시인하여 구원에 이른다(롬10:10)고 했습니다. 그러나 이 문장에는 ‘진정으로’라는 단어가 붙어야 합니다. 마음으로 믿는 일과 입으로 시인하는 일에 머리카락만큼이라도 ‘거짓’이 섞여 있으면, 이 약속은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또 누구든지 주의 이름을 부르는 자는 구원을 얻는다(롬10:13)고 했습니다. 사람이 구원...

 [2023/12/02 20:28]
사랑만이 율법을 완성한다 (로마 10:1~13)
  사랑만이 율법을 완성한다 (로마 10:1~13) - 로마서 묵상 29   바울은 이방인을 위한 사도를 자청합니다. 구원은 본래 이스라엘로부터 이루어지기로 계획되었는데, 그들이 거절함으로써 이방인에게로 넘어갔습니다. 그렇다면 이방인의 사도로서 바울은 이스라엘의 운명에 대하여 어떤 소망을 지니고 있습니까?   1절 : 바울은 앞서 자기 동족을 위해서라면 저주를 받아 그리스도에게서 끊어져도 좋다고 말한 ...

 [2023/11/09 20:18]
네가 뉘기에? (로마 9:19~33)
  네가 뉘기에? (로마 9:19~33) - 로마서 묵상 28   우리에게 일어나는 모든 것이 하나님께서 하시는 일입니다. 그렇게 믿으시나요? - 바로가 그토록 고집을 부린 것도 하나님께서 그렇게 시킨 것입니다(롬9:17). 자, 그렇다고 한다면, 도대체 사람이 책망받을 이유가 있을까요? 나아가 하나님께서도 우리 사람을 허물하실 자격이 없으신 것 아닌가요? 바울은 이 질문에 대답할 의무가 있습니다. 그런데 그의 대답은 또 ...

 [2023/09/09 15:39]
하나님이 불의를 저지르셨나? (로마 9:1~18)
  하나님이 불의를 저지르셨나? (로마 9:1~18) - 로마서 묵상 27   바울은 자신이 이방인을 위하여 하나님께서 따로 세우신 종이라고 늘 생각했습니다. (엡3:8~9) 그렇다면 이스라엘 백성과는 어떤 관계인가요? 바울은 자신이 오직 이방인을 위한 사도요 이스라엘과는 상관없는 존재라고 생각했던가요? - 아닙니다. 오히려 그는 자기 동족인 이스라엘을 위해서라면 저주를 받아 그리스도에게서 끊어져도 좋다고, 극단...

 [2023/08/19 15:02]
아름다운 믿음 (로마 8:31~39)
  아름다운 믿음 (로마 8:31~39) - 로마서 묵상 26   31~32절 : 하나님은 절대(絶對) 한 분이십니다. 아무것도 누구도 그분께 맞설 수 없습니다. 이것은, 하나님이 만물 가운데 가장 힘센 분이기 때문이 아닙니다. 생각해 보십시오. 가장 힘이 센 자는 자기보다 약한 자가 있어서 비로소 존재합니다. 2등이 없이는 1등이 있을 수 없습니다. 그런데 하나님은 당신의 존재를 위하여 누구도 아무것도 필요하지 않습니다. 그래...

 [2023/07/27 21:07]
우리 교회는 오염수 방류를 반대합니다!
이 문제는 세대와 진영을 떠나서 또 초교파적으로 온 국민이 막아내야 할 가장 시급한 문제입니다. "한 번 오염된 바다는 되돌릴 수 없습니다!          

 [2023/06/29 22:10]
탄식하는 피조물 (로마 8:22~30)
  탄식하는 피조물 (로마 8:22~30) - 로마서 묵상 25   자연은 피조물입니다. 인간도 피조물입니다. 따라서 자연과 인간은 하나입니다. 인간은 하나님으로부터 자연을 다스리라라는 책임을 맡은 존재이면서 동시에 그 자연의 일부입니다. 그러나 인간이 전자만 알고 후자를 잊어버린 까닭에, 오늘날 심각한 공해문제와 이에 따른 자연재해가 일어났습니다. 강과 바다가 썩고 물고기가 떼죽음을 당하는 것은, 그들보...

 [2023/06/17 15:04]
새 가족 교육 8
  제2과 그리스도인의 가정과 사회생활   가정은 하나님께서 만드신 작품이며, 인류에게 주신 선물입니다. 그렇기에 가정은 언제나 하나님과 관계를 맺을 때만 진정한 가치가 있습니다. 가정은 교회가 생기기 이전에 있던 가장 작은 단위의 신앙공동체입니다. 하나님은 친히 가정 안에 계시고, 가정을 통하여 하나님의 일을 하십니다. 그러므로 단순한 혈연뿐만 아니라 신앙적 차원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중심으...

 [2023/06/03 20:49]
새 가족 교육 7
  [3단계]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제1과 그리스도인의 삶의 자세   그리스도인의 신앙은 성령에 의해 내면이 변하는 것입니다. 동시에 반드시 생활 속에서 열매로 나타나야 합니다. 복잡하고 다양한 사회 환경 속에서 신앙을 지켜나가기가 쉽지 않지만, 그리스도인답게 사는 것이야말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일입니다.   더욱 성숙한 생활을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합니까? - 경건 생활, 교회 생활, ...

 [2023/05/27 22:14]
새 가족 교육 6
  [2단계] 무엇을 믿는가?   제2과 감리교 교리 (선재적 은총, 성화와 완전, 하나님의 나라)   <감리교 교리의 특징>   선재적(先在的) 은총 ? 장로교에서 말하는 ‘예정론’은 사람이 구원받고 못 받고는 태어나기 전, 이미 예정되어 있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감리교회에서는 하나님의 구원이 ‘선재적 은총’으로부터 시작된다고 믿습니다. 우리가 하나님을 믿는 믿음도, 우리 자신이 만든 것이 아...

 [2023/05/13 15:08]
12345678910,,,45



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 남명로 234번길 30 (사리 900-60). admin@slowstep.org / Copyright (c) SlowSte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