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천천히
작성일 2020-10-09 (금) 21:31
ㆍ추천: 0  ㆍ조회: 406      
http://slowstep.org/home/?slowstep.2366.21
“ 룻기 공부 8,9 ”

 

룻기 공부 - 타작마당의 밤 (룻기 3:1~13)

 

네가 베푼 인애가 처음보다 나중이 더하도다 (10)

젊은 여인으로부터 강렬한 구혼을 받았으니 이제는 나이 많은 보아스가 대답할 차례입니다. “내 딸아 여호와께서 네게 복 주시기를 원하노라.”(10) 하고 축복합니다. 내 딸아는 히브리어 비티의 직역입니다. 우리말로 하면, “이보시오 젊은이, 여호와께서 댁에게 복 주시기를 바라오.” 정도일 것입니다. 28절에서도 이 말이 한 번 나왔습니다. 보아스가 룻을 처음 만났을 때도 바로 내 딸아라고 불렀습니다. 거기에도 우리 경우라면, “이보시오 젊은이.”로 불러야 합니다. 보아스는 룻에게 네가 베푼 인애가 처음보다 나중이 더하도다.”라고 말합니다. 여기 인애라고 번역된 히브리어 헷세드는 우리 문맥에서는 가족으로서의 성실성을 뜻합니다. 더 구체적으로는 한 가문의 며느리로서 그가 보여준 성실한 태도를 일컫는 것입니다. 그런데 보아스가 한 말 중 이해하기 복잡한 것은 처음나중입니다. 룻이 처음에 보인 성실성은 무엇을 가리키고, 나중에 보인 성실성은 무엇을 가리키는가 하는 것입니다. 이점에서는 학자들의 견해가 반드시 일치하지 않습니다. 많은 학자들은 룻이 처음 행한 인애는, 그가 남편과 사별한 후에도 시어머니를 떠나지 않고 베들레헴까지 함께 와서 시어머니를 모시고 사는 것이라고 봅니다. 그리고 룻의 나중의 행위는 이중적이라고 봅니다. 룻이 보아스에게 구혼을 한 것은, 한편으로는 엘리멜렉의 가문을 잇기 위해 며느리로서 한 갸륵한 행위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보아스로 하여금 시형제 결혼의 의무를 시행할 기회를 준 것이라고도 보는 것입니다. 따라서 룻이 시어머니에게 한 첫 번째 성실한 행위도 갸륵하지만, 가문의 대를 잇기 위해 결혼하는 것은 더욱 갸륵한 일이라는 것입니다.

 

유능한 여인 룻 (11)

<개역>에서는 보아스가 룻더러 현숙한 여인이라고 말했는데, 이것은 히브리어로는 에셋 하일입니다. 여기에서 특별히 이 히브리어 표현을 강조하는 것은, 룻기의 이야기꾼인 저자가 일부러 이 표현을 골라서 썼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룻기의 이야기꾼이 21절에서 보아스를 소개할 때, 보아스를 유력한 남자라고 합니다. 그 유력한 자라는 말을 히브리어로는 이쉬 깁보르 하일이라고 합니다. 보아스를 일컬어 이쉬(남자) 하일(유력한) 이라고 하고 룻을 일컬어 에셋(여자) 하일(유력한)이라고 하면, 두 사람 모두 하일의 사람이란 뜻입니다. 룻기의 저자는 이미 이 두 사람을 짝지으려고, 짝이 될 수밖에 없는 천생연분의 인연을 찾으려 하고 있지 않습니까. 이미 우리가 21절의 본문을 읽을 때 본 것과 같이, 하일이란 말은 힘 센입니다. 같은 말이지만, 우리말 <개역>은 이 말이 남자에게 적용될 때에는 유력하다(부자;부호)는 뜻으로, 여자에게 적용될 때에는 현숙하다는 뜻으로 번역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에셋 하일은 경제력을 가지고 한 가정을 이끌어가는 유능한 여인이라는 뜻인데, 룻도 바로 이런 유능한 여인이었습니다.

 

생각해보기

본문은 이해하기 어려운 내용이 거의 없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야기를 좀 더 깊게 들여다보면서 그 속에 하나님의 은밀한 인도하심이 있음을 발견해야 합니다. 그리고 그 인도하심에 룻이 어찌했는가를 보아야 합니다. 룻은 단지 순종할 뿐이었습니다. 그러므로 나의 삶의 자리에서도 하나님은 분명하게 나를 인도하십니다. 나는 룻처럼 하나님의 인도하심에 순종하며 사는지요?

 

 

 

 

 

 

룻기 공부 - 타작 마당의 새벽 (룻기 3:14~18)

 

이제는 기다리는 수밖에

이른 아침 룻이 시어머니 나오미에게 돌아왔습니다. 그날 밤에, 세 사람이 잠을 설쳤습니다. 보아스와 룻은 둘이서 밤을 새웠을 것이고, 이 일을 꾸민 시어머니 나오미는 혼자 가슴 조이며 며느리가 돌아오기를 기다리고 있었을 것입니다. 룻이 집안으로 들어서자 엉겁결에 시어머니가 한다는 말이 너 누구냐?” 하는 것이었습니다. 우리말 <개역> 본문에서는 내 딸아, 어떻게 되었느냐?” 라고 물은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본문 아래 여백에 있는 주를 보면, 히브리 원문에는 너는 누구냐?”로 되어 있다고 밝혀져 있습니다. 밤중에 보아스가 자기 옆에 바싹 다가와서 누워있는 룻을 보고 물었던 말도 너는 누구냐?” 하는 것이었습니다. 하루 동안에 두 번씩이나 서로 다른 사람에게서 너는 누구냐?”는 질문을 받은 룻은 과연 누구입니까? 이 질문에 대해 답변하는 것이 바로 우리가 읽고 있는 <룻기>입니다. 보아스는 상대방이 누구인지 몰라서 물었겠고, 나오미는 알면서도 누구냐고 물은 것입니다. 우리말에도 이것과 비슷한 용법이 있습니다. 생각지도 않은 곳에서 의외의 친구를 만났을 때 흔히 , 이게 누구야?” 하고 물으면서 부둥켜안는 것 말입니다. 시어머니는 며느리를 보아스에게 보내 놓고 무척 조마조마하게 기다렸을 것입니다. 그러다가 새벽같이 며느리를 만났으니 얘야, 너 누구니?” 하고 말할 만도 했을 것입니다.

룻은 보아스가 자기에게 어떻게 했는지를 시어머니에게 모두 보고합니다. 그리고 가지고 온 보리도 보아스가 시어머니에게 빈손으로 가지 말라고 하면서 되어 준 것이라고 말합니다. 315절과 17절에는 보아스가 보리를 여섯 번 되어 주었다고 합니다. 무엇으로 여섯 번 되었는지 밝혀져 있지 않습니다. 보리를 될 때 쓰는 어떤 그릇이었을 것입니다. 아마도 그것은 에바였을 것입니다. 보아스가 룻에게 시어머니에게 빈손으로 가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는데, 빈손으로 번역된 히브리어어 레이캄텅 빈 것을 뜻하는 말로써, 이미 121절에서 나오미가 베들레헴 아낙들에게 내가 풍족하게 나갔더니 여호와께서 내게 비어(레이캄) 돌아오게 하셨느니라.”하고 말할 때 한 번 썼던 말입니다. 그러니까 나오미는 다 잃고 텅 비어 돌아온 겁니다. 그러나 보아스가 나오미의 텅 빈 곳을 이제 곧 메꾸어 줄 것입니다. 그러니 하나님께서도 우리의 비어 있는 곳을 채워주시리라 믿고 살아가야 합니다.

이야기를 다 듣고 난 시어머니는, 또 보아스가 룻을 시켜 보리를 낸 뜻도 깨달은 시어머니는, 보아스가 이 일을 빨리 추진하여 성사시킬 것을 믿습니다. 그래서 그는 며느리에게 일이 어떻게 되는 것을 알기까지는 가만히 집에 들어앉아 있으라.”(아샤브) 하고 말합니다. 2장도 아샤브(거주하니라)로 끝나는데, 3장도 아샤브(앉아 있으라)로 끝납니다. 보아스가 룻과 결혼할 여부를 결정하는데 오늘 하루를 넘기지 않을 것입니다. 또 그가 약속한 것이니, 룻이나 나오미로서는 기다리는 일 밖에는 남지 않았습니다.

 

생각해보기

하나님은 오늘도 우리에게, 때를 기다리라고 하시면서 나도 그때를 기다린다고 말씀하십니다. 우리는 어느 때를 살고 있나요? 하나님의 때인가요, 아니면 나의 때인가요? 우리에게 기다릴 줄 아는 믿음이 있어야겠습니다.

 

 

 

 

 

   
  0
3500
오직 하나님께 영광을! (로마 16:17~27)
오직 하나님께 영광을! (로마 16:17~27) - 로마서 묵상 45   편지를 받을 이들에게 고루고루 문안 한 바울은 자기와 함께 문안하는 이들의 이름을 열거하기에 앞서 교회를 어지럽히는 자들에 대한 경계를 권면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해서든지 교회의 건강과 순결을 지키려는 사도의 노파심이 엿보입니다.   17절 : 바울은 자기가 전한 복음에 대한 확신과 자부심이 대단했습니다. 복음은, 들으면 좋지만 안 들어도 괜찮...

 [2025/07/12 22:22]
주 안에서 문안하라 (로마 16:1~16)
주 안에서 문안하라 (로마 16:1~16) - 로마서 묵상 44   16장이 과연 처음부터 바울의 <로마서>에 속한 것이었는지, 아니면 돌려 읽기를 염두에 두고 쓴 (회람용) 편지를 에베소 교회에 보내면서 그곳 신자들에게 문안과 권고(16:17~20)를 첨부한 것이었는지 명확하게 알 수는 없지만, 학자들 사이에 의견이 좀 다릅니다. 그러나 그것이 결정적으로 중요한 문제는 못됩니다. 로마에 있든, 에베소에 있든, 모두 주안에서 한 ...

 [2025/06/14 19:41]
대통령의 약속
<이재명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취임사>존경하고 사랑하는 국민 여러분,여러분이 선택해 주신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이재명인사드립니다.한없이 무거운 책임감과 한없이 뜨거운 감사함으로 이 자리에 섰습니다.5200만 국민이 보내주신 5200만 가지 열망과 소망을 품고오늘부터 저는 대한민국 21대 대통령으로서진정한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을 향한 첫 발을 내딛습니다.미래가 우리를 향해 손짓하고 있습니다.벼랑 끝에 ...

 [2025/06/07 09:20]
대통령 선거
어제에 이어서 오늘과 또 다음 주 화요일까지, 생각이 바른 모든 국민이 투표에 참여하여, 이 나라를 다시 바로 세우기를 바란다. 내란세력 척결!

 [2025/05/30 13:27]
저희가 기뻐서 하였거니와 (로마 15:25~33)
저희가 기뻐서 하였거니와 (로마 15:25~33) - 로마서 묵상 43   지금 바울은, 마게도니아와 아가야 사람들이 예루살렘의 가난한 그리스도인들을 위해 기꺼이 연보(捐補-구제금)를 했는데, 그것을 전해주러 예루살렘으로 가는 길입니다. 여유 있는 이들이 모자라는 이들에게 가진 것을 나누어 주는 모습은 자연스러운 일이고 그래서 아름답습니다. - 가난한 백성의 재물로 고관대작(高官大爵)의 기름진 배를 채우는 것이 폭...

 [2025/05/10 21:51]
당신의 주인은 누구입니까?
오늘 주일 예배 때 전했던 설교 중 앞 부분을 요약해봤습니다.설교를 막 시작하는데, 앞쪽에 앉아 있던 노부부가 티격태격하더군요. 얼른 눈치를 보니, 나이 80대인 남편이 성서 본문을 잘못 찾았다고 70대인 아내가 핀잔을 한 게 발단이 된 겁니다. 그 순간 나도 당황스러웠습니다. 교인 몇이나 된다고, 설교를 시작하는데 부부싸움을 하다니.. 웃어야 할지 울어야 할지, 그냥 속으로 웃었습니다. ㅋㅋㅋ 그래도 나머지 교인들...

 [2025/04/27 23:35]
다시 생각나게 하려고 (로마 15:14~24)
다시 생각나게 하려고 (로마 15:14~24) - 로마서 묵상 42   이제 긴 편지를 마감할 때가 되었습니다. 바울은 자기가 어떤 목적과 동기로 이 편지를 쓰고 있는지 밝히면서 혹시 있을 수도 있는 오해를 미리 막으려 합니다. 그는 자기가 이 편지를 쓰게 된 것이 자기 뜻이 아니요, 주님의 은총이요 명령이라고 말합니다. 바울은 한순간도 자신의 ‘나’(ego)를 내세우면 안 되는, ‘예수 그리스도의 종임을 잊지 않고 살아간 분...

 [2025/04/12 20:33]
너희도 서로 받으라 (로마 15:1~13)
너희도 서로 받으라 (로마 15:1~13) - 로마서 묵상 41   그리스도인은 서로 사랑하고 조화를 이루며 살아야 하는데, 그 이유는 그리스도가 한 분이요, 그리스도인은 그 한 몸의 여러 지체이기 때문입니다. 생각해보십시오. 한쪽 다리가 아프면 다른 쪽 다리가 아픈 다리의 몫을 떠맡는데 아무 불평도 우쭐거림도 없습니다. 저절로 그렇게 되기 때문에 자기가 그러고 있는 줄도 모릅니다. 이것이 바로 이상적인 교회의 모습...

 [2025/03/08 20:39]
먹는 것으로 하나님의 사업을 망치지 말라 (로마14:13~
먹는 것으로 하나님의 사업을 망치지 말라 (로마14:13~23) - 로마서 묵상 40   믿음의 깊이가 자기와 다른 사람, 특히 자기만큼 깊지 못한 사람에 대하여 그를 비판하지 말 것을 권고한 뒤에, 이어서 바울은 그에게 걸림돌이 될 만한 것을 제공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하라고 말합니다.   13~14절 : 아이들이 장난으로 던지는 돌에 개구리는 죽습니다. - 무엇이 어떤 사람에게 걸림돌이 된다면 그 까닭은 ‘무엇’에 있지 ...

 [2025/02/08 22:23]
새해 1월을 시작하며
예배당, 목양실(?), 목사관에 새해 교회 달력을 걸고 이런저런 생각을 해봅니다. 그 생각이란 건 모두 나의 ‘바람’입니다. 1년치 바람을 다 생각한 건 아니고 1월 한 달의 바람만 생각해 보았는데, 그 생각만으로도 내 가슴은 터질 지경입니다.- 지난 12월, 계엄을 빙자한 내란을 일으켰다가 실패한, 내란 수괴를 비롯한 내란에 가담했던 자들에게 엄중한 법의 심판이 있기를- 사악한 자를 대통령으로 세워 온 나라를 혼란스럽...

 [2025/01/02 21:49]
12345678910,,,47



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 남명로 234번길 30 (사리 900-60). admin@slowstep.org / Copyright (c) SlowSte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