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천천히
작성일 2021-01-09 (토) 11:54
ㆍ추천: 0  ㆍ조회: 296      
http://slowstep.org/home/?slowstep.2431.21
“ 푯대를 향하여 달려가자 (빌립 3:10~14) ”


 

영화 말아톤에는 장애인 아들을 둔 어머니의 이야기가 나오는데, 한 장애인 청년이 우여곡절 끝에 엄마의 믿음과 사랑으로 그 힘든 마라톤 코스를 완주하는 내용입니다.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목표를 향해 달려가는 사람이 아름답습니다. 신앙생활도 마찬가지입니다. 한번 시작했으면 끝까지 가야 하는 길입니다. 그럼 어떻게 하면, 그런 쉼 없는 달리기를 잘 할 수 있을까요?

본문 14절을 보면, 바울 사도는 푯대를 향하여라고 자신의 목표를 분명하게 말합니다. ‘푯대목표 지점이 잘 보이도록 세워놓는 대를 말합니다. 바울은 그 푯대만을 바라보고 달렸습니다. “목적이 사람을 세우지만, 그 사람을 이끄는 것은 그 사람이 세운 목적이다.”는 말이 있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생각해 봅니다. ‘내 인생의 목표는 무엇인가?’ ‘나는 지금 어디로 달려가고 있는가?’ 우리는 오늘 사도가 세운 푯대가 무엇인지 분명히 알아야 합니다. 푯대는 바로 예수 그리스도입니다. 사도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모든 기득권을 해로 여기고 배설물로 여긴다고 했습니다. 바로 예수 때문에, 그리스도를 위하여(7), 그리스도 예수를 아는 지식이 고상하기 때문에(8), 그리스도 안에서 발견되고 싶어서(9), 그리고 그분의 삶에 동참하고 그분을 본받고 살고 싶어서(10), 사도는 다른 것은 다 버리고, 뒤로 하고, 주님만 바라보았습니다. 그러니 바울에게는 예수 그리스도가 삶의 목표요, 그분을 닮아가는 것이 목적입니다. 그것이 그의 인생을 이끌었고, 그 목적을 갖고 바울은 달려갔던 것입니다.

교우 여러분, 우리 그리스도인들의 달리기는 이 땅에서 누리는 재물이나 힘을 기대하고 달리는 달리기가 아닙니다. 이 땅의 것을 기대하다 보면, 그 달리기를 완주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언제나 위의 것을 바라보아야 합니다. 우리 상은 거기에 있습니다. 우리의 명예는 바로 하나님의 나라에 있습니다. 달리기는 이미 시작되었습니다. 포기할 수도 없고, 중단할 수도 없는 달리기입니다. 여기까지 어떻게 달려왔는데, 푯대에 도달할 때까지, 사명을 완수할 때까지, 그 한 방향으로 달려가야 합니다.

새해, 우리는 같은 자리에서 출발했습니다. 그런데 어떤 이는 벌써 지쳐있고, 어떤 이는 끊임없이 유혹에 시달리고, 또 어떤 이는 자가당착(自家撞着)에 빠져 있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체력을 아껴가며, 묵묵히, 꾸준히, 분명하게, 2021년 마지막 날을 향해 함께 달려가야 합니다. 지쳤을 때가 다시 일어설 때이며, 포기하고 싶을 때가 사명감을 다시 불태울 때입니다. 마음이 맞지 않을 때가 오히려 협력하여 선을 이룰 때라는 것을 명심하면서, 우리의 푯대를 향하여 달려갑시다.


 


   
  0
3500
주 안에서 문안하라 (로마 16:1~16)
주 안에서 문안하라 (로마 16:1~16) - 로마서 묵상 44   16장이 과연 처음부터 바울의 <로마서>에 속한 것이었는지, 아니면 돌려 읽기를 염두에 두고 쓴 (회람용) 편지를 에베소 교회에 보내면서 그곳 신자들에게 문안과 권고(16:17~20)를 첨부한 것이었는지 명확하게 알 수는 없지만, 학자들 사이에 의견이 좀 다릅니다. 그러나 그것이 결정적으로 중요한 문제는 못됩니다. 로마에 있든, 에베소에 있든, 모두 주안에서 한 ...

 [2025/06/14 19:41]
대통령의 약속
<이재명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취임사>존경하고 사랑하는 국민 여러분,여러분이 선택해 주신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이재명인사드립니다.한없이 무거운 책임감과 한없이 뜨거운 감사함으로 이 자리에 섰습니다.5200만 국민이 보내주신 5200만 가지 열망과 소망을 품고오늘부터 저는 대한민국 21대 대통령으로서진정한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을 향한 첫 발을 내딛습니다.미래가 우리를 향해 손짓하고 있습니다.벼랑 끝에 ...

 [2025/06/07 09:20]
대통령 선거
어제에 이어서 오늘과 또 다음 주 화요일까지, 생각이 바른 모든 국민이 투표에 참여하여, 이 나라를 다시 바로 세우기를 바란다. 내란세력 척결!

 [2025/05/30 13:27]
저희가 기뻐서 하였거니와 (로마 15:25~33)
저희가 기뻐서 하였거니와 (로마 15:25~33) - 로마서 묵상 43   지금 바울은, 마게도니아와 아가야 사람들이 예루살렘의 가난한 그리스도인들을 위해 기꺼이 연보(捐補-구제금)를 했는데, 그것을 전해주러 예루살렘으로 가는 길입니다. 여유 있는 이들이 모자라는 이들에게 가진 것을 나누어 주는 모습은 자연스러운 일이고 그래서 아름답습니다. - 가난한 백성의 재물로 고관대작(高官大爵)의 기름진 배를 채우는 것이 폭...

 [2025/05/10 21:51]
당신의 주인은 누구입니까?
오늘 주일 예배 때 전했던 설교 중 앞 부분을 요약해봤습니다.설교를 막 시작하는데, 앞쪽에 앉아 있던 노부부가 티격태격하더군요. 얼른 눈치를 보니, 나이 80대인 남편이 성서 본문을 잘못 찾았다고 70대인 아내가 핀잔을 한 게 발단이 된 겁니다. 그 순간 나도 당황스러웠습니다. 교인 몇이나 된다고, 설교를 시작하는데 부부싸움을 하다니.. 웃어야 할지 울어야 할지, 그냥 속으로 웃었습니다. ㅋㅋㅋ 그래도 나머지 교인들...

 [2025/04/27 23:35]
다시 생각나게 하려고 (로마 15:14~24)
다시 생각나게 하려고 (로마 15:14~24) - 로마서 묵상 42   이제 긴 편지를 마감할 때가 되었습니다. 바울은 자기가 어떤 목적과 동기로 이 편지를 쓰고 있는지 밝히면서 혹시 있을 수도 있는 오해를 미리 막으려 합니다. 그는 자기가 이 편지를 쓰게 된 것이 자기 뜻이 아니요, 주님의 은총이요 명령이라고 말합니다. 바울은 한순간도 자신의 ‘나’(ego)를 내세우면 안 되는, ‘예수 그리스도의 종임을 잊지 않고 살아간 분...

 [2025/04/12 20:33]
너희도 서로 받으라 (로마 15:1~13)
너희도 서로 받으라 (로마 15:1~13) - 로마서 묵상 41   그리스도인은 서로 사랑하고 조화를 이루며 살아야 하는데, 그 이유는 그리스도가 한 분이요, 그리스도인은 그 한 몸의 여러 지체이기 때문입니다. 생각해보십시오. 한쪽 다리가 아프면 다른 쪽 다리가 아픈 다리의 몫을 떠맡는데 아무 불평도 우쭐거림도 없습니다. 저절로 그렇게 되기 때문에 자기가 그러고 있는 줄도 모릅니다. 이것이 바로 이상적인 교회의 모습...

 [2025/03/08 20:39]
먹는 것으로 하나님의 사업을 망치지 말라 (로마14:13~
먹는 것으로 하나님의 사업을 망치지 말라 (로마14:13~23) - 로마서 묵상 40   믿음의 깊이가 자기와 다른 사람, 특히 자기만큼 깊지 못한 사람에 대하여 그를 비판하지 말 것을 권고한 뒤에, 이어서 바울은 그에게 걸림돌이 될 만한 것을 제공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하라고 말합니다.   13~14절 : 아이들이 장난으로 던지는 돌에 개구리는 죽습니다. - 무엇이 어떤 사람에게 걸림돌이 된다면 그 까닭은 ‘무엇’에 있지 ...

 [2025/02/08 22:23]
새해 1월을 시작하며
예배당, 목양실(?), 목사관에 새해 교회 달력을 걸고 이런저런 생각을 해봅니다. 그 생각이란 건 모두 나의 ‘바람’입니다. 1년치 바람을 다 생각한 건 아니고 1월 한 달의 바람만 생각해 보았는데, 그 생각만으로도 내 가슴은 터질 지경입니다.- 지난 12월, 계엄을 빙자한 내란을 일으켰다가 실패한, 내란 수괴를 비롯한 내란에 가담했던 자들에게 엄중한 법의 심판이 있기를- 사악한 자를 대통령으로 세워 온 나라를 혼란스럽...

 [2025/01/02 21:49]
지난 일주일 소고小考
[지난 일주일 소고小考]- ‘국민의 힘 >> 국민의 짐>> 내란의 힘>>국민의 적‘으로 몰락하는 과정을 똑똑히 보았습니다.- 내란에 가담했던 똥별들이 억울하다는 심정으로 인터뷰하는 걸 보면서, 저들이 만약 내란에 성공했다면 어떻게 돌변했을지 생각만 해도 몸소리쳐집니다.- 그래서 지난 12.3 국회에서 계엄령을 막아낸 건 하늘이 도왔다고 여깁니다. 그런데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 하니, 선하고 정의...

 [2024/12/11 12:04]
12345678910,,,47



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 남명로 234번길 30 (사리 900-60). admin@slowstep.org / Copyright (c) SlowSte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