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천천히
작성일 2025-03-08 (토) 20:39
ㆍ추천: 0  ㆍ조회: 157      
http://slowstep.org/home/?slowstep.3114.21
“ 너희도 서로 받으라 (로마 15:1~13) ”



너희도 서로 받으라 (로마 15:1~13) - 로마서 묵상 41

 

그리스도인은 서로 사랑하고 조화를 이루며 살아야 하는데, 그 이유는 그리스도가 한 분이요, 그리스도인은 그 한 몸의 여러 지체이기 때문입니다. 생각해보십시오. 한쪽 다리가 아프면 다른 쪽 다리가 아픈 다리의 몫을 떠맡는데 아무 불평도 우쭐거림도 없습니다. 저절로 그렇게 되기 때문에 자기가 그러고 있는 줄도 모릅니다. 이것이 바로 이상적인 교회의 모습입니다.

 

1~2 : ‘영적인 깨달음이란, ‘개체인 나(ego)전체인 나(self)로 돌아가는 것 또는 돌아가서 하나가 되는 것을 뜻합니다. 그렇다고 해서 개체인 나를 무시하거나 없애버려야 한다는 말은 아닙니다. 수많은 가지가 저마다 다른 모양으로 뻗어 있으면서 한 그루의 나무로 살아가듯이, 개체인 나이면서 전체인 나로 살아가는, 그것이 깨달은 사람의 삶입니다. 이 깨달음에 이르지 못한 사람들은 강한 자와 약한 자가 따로 있다는 착각(무엇이 따로있다는 말은 하나님 나라에서는 통하지 않는 말이다)에서 벗어나지 못한 사람들입니다. 그래서 바울은 그들의 눈높이에 맞추어서, 믿음이 강한 사람은 약한 사람의 약점을 담당하라고 말합니다. - 저마다 이웃을 기쁘게 하려고 애쓴다면 선()과 덕()은 따로 힘들이지 않아도 저절로 이루어질 것입니다. ‘저 사람이 이렇게 해주면 내가 기쁘겠는데하고 생각하기 전에, ‘내가 어떻게 하면 저 사람이 기뻐할까를 먼저 생각하라는 얘기입니다. - 우리 모두 그렇게 살면 참 좋겠습니다.

 

3~4 : 그리스도께서 자기를 기쁘게 하지 않으셨다는 말은, 죽음을 피하고 싶은 당신 마음을 비우고 십자가를 짐으로써 하나님 아버지를 기쁘게 해드린 것을 가리킵니다. 이처럼 그리스도는 강자인 자기를 기쁘게 하는 대신 약자인 죄인들을 기쁘게 하려고 십자가를 지셨습니다. 따라서 그리스도인들은 유일한 스승이신 그리스도를 본받아 약한 자의 짐을 져 주어야 합니다. 그것이 자신의 영적 진보를 돕는 길입니다.

 

5~6 :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바라시는 것은, 당신을 찬미하는 노래를 잘 해서 영광을 돌리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한마음과 한 입으로하는 것입니다. 아무리 큰 목소리로 하나님을 노래한다고 해도 노래하는 자들의 마음과 입이 따로따로라면, 그것은 목소리가 클수록 그만큼 더 시끄러운 소리일 뿐입니다. 그런데 마음과 입이 하나가 되려면 속 생각이 같아야 합니다. 그리스도인의 속 생각이 같아지려면 길은 하나밖에 없습니다. 한 분이신 그리스도를 본받는 것입니다.

 

7 : 받아들이는 일은, 큰 쪽에서 작은 쪽에 대고 할 수 있는 겁니다. 작은 그릇은 큰 그릇을 받아들이지 못합니다. 그리스도께서 우리 모두를 받아들이신 것은 우리보다 크신 분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이 구절에서 서로 받으라는 말은 어떻게 읽어야 할까요? 강한() 자가 약한(작은) 자를 받아들이라는 말은 쉽게 이해가 되는데, 약한(작은) 자도 강한() 자를 받아들여야 서로를 받아들이는 것이 아닙니까? 작은 자가 큰 자를 어떻게 받아들인단 말인가요? 큰 자가 아무리 용납을 해도 작은 자가 그것을 용납하지 않는다면 큰 자의 용납은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작은 자가 큰 자를 용납한다는 말은 큰 자의 용납을 작은 자가 받아들인다는 뜻입니다. “구원이란, 하나님의 용납을 용납하는 것이다.”(P. Tillich) 강한 자가 약한 자를 기꺼이 받아주고 약한 자가 강한 자에게 기꺼이 안기면 서로 안에 있게 됩니다. 아버지여, 아버지께서 내 안에, 내가 아버지 안에 있는 것 같이, 그들도 다 하나가 되어 우리 안에 있게 하사, 세상으로 아버지께서 나를 보내신 것을 믿게 하옵소서.” (요한17:21)

 

8~9 : “할례의 추종자가 되셨다.”는 말은 유대인의 종이 되셨다는 뜻입니다. 그리스도께서 유대인을 섬기는 자로서 오신 것은, 오직 하나님이 진실하신 분임을 입증하기 위해서였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일찍이 이스라엘 선조들에게 메시아를 보내 구원하실 것과 이방인들도 구원하실 것을 약속하셨고, 그리스도는 그 약속의 실현인 것입니다.

 

10~13 : 기쁨과 평강은 하나님이 우리에게 내리시는 것입니다. 그러나 그것을 받아들이는 우리의 믿음이 없으면 하나님의 기쁨과 평강이 내려와 머물 데가 없습니다. 또 소망은 우리가 품는 것입니다. 그러나 성령의 힘이 아니면 우리의 소망이 가서 닿을 데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우리 모두 서로 받아서’, 기쁨과 평안과 소망을 이루어가기 바랍니다.




   
  0
3500
너희도 서로 받으라 (로마 15:1~13)
너희도 서로 받으라 (로마 15:1~13) - 로마서 묵상 41   그리스도인은 서로 사랑하고 조화를 이루며 살아야 하는데, 그 이유는 그리스도가 한 분이요, 그리스도인은 그 한 몸의 여러 지체이기 때문입니다. 생각해보십시오. 한쪽 다리가 아프면 다른 쪽 다리가 아픈 다리의 몫을 떠맡는데 아무 불평도 우쭐거림도 없습니다. 저절로 그렇게 되기 때문에 자기가 그러고 있는 줄도 모릅니다. 이것이 바로 이상적인 교회의 모습...

 [2025/03/08 20:39]
먹는 것으로 하나님의 사업을 망치지 말라 (로마14:13~
먹는 것으로 하나님의 사업을 망치지 말라 (로마14:13~23) - 로마서 묵상 40   믿음의 깊이가 자기와 다른 사람, 특히 자기만큼 깊지 못한 사람에 대하여 그를 비판하지 말 것을 권고한 뒤에, 이어서 바울은 그에게 걸림돌이 될 만한 것을 제공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하라고 말합니다.   13~14절 : 아이들이 장난으로 던지는 돌에 개구리는 죽습니다. - 무엇이 어떤 사람에게 걸림돌이 된다면 그 까닭은 ‘무엇’에 있지 ...

 [2025/02/08 22:23]
새해 1월을 시작하며
예배당, 목양실(?), 목사관에 새해 교회 달력을 걸고 이런저런 생각을 해봅니다. 그 생각이란 건 모두 나의 ‘바람’입니다. 1년치 바람을 다 생각한 건 아니고 1월 한 달의 바람만 생각해 보았는데, 그 생각만으로도 내 가슴은 터질 지경입니다.- 지난 12월, 계엄을 빙자한 내란을 일으켰다가 실패한, 내란 수괴를 비롯한 내란에 가담했던 자들에게 엄중한 법의 심판이 있기를- 사악한 자를 대통령으로 세워 온 나라를 혼란스럽...

 [2025/01/02 21:49]
지난 일주일 소고小考
[지난 일주일 소고小考]- ‘국민의 힘 >> 국민의 짐>> 내란의 힘>>국민의 적‘으로 몰락하는 과정을 똑똑히 보았습니다.- 내란에 가담했던 똥별들이 억울하다는 심정으로 인터뷰하는 걸 보면서, 저들이 만약 내란에 성공했다면 어떻게 돌변했을지 생각만 해도 몸소리쳐집니다.- 그래서 지난 12.3 국회에서 계엄령을 막아낸 건 하늘이 도왔다고 여깁니다. 그런데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 하니, 선하고 정의...

 [2024/12/11 12:04]
남의 하인을 판단하는 너는 누구냐? (로마 14:1~12)
남의 하인을 판단하는 너는 누구냐? (로마 14:1~12) - 로마서 묵상 39   주님이신 예수께서 우리에게 남을 판단하지 말라고 가르치신 데는 그럴만한 이유와 근거가 있습니다. 만일 우리가 예수님처럼 사물을 본다면, 우리에게도 남을 판단할 자격이 있을 겁니다. 그러나 우리는 예수님처럼 보지 못합니다. 그분은 무엇을 보시든지 당신 혼자서 보지 않으시고 하나님과 함께 보십니다. “만일 내가 판단하여도 내 판단이 참...

 [2024/12/07 20:49]
가을꽃
두 곳에 피어 있는 가을 꽃입니다.앞의 것은 우리 교회 정원에 피어 있는 하얀색 ‘목서’ 꽃이고, 뒤의 것은 시천면 입구 지리산 관리사무소 앞에 피어 있는 화려한 꽃입니다.앞의 것은 딱 한 그루지만 정원지기가 정성을 다해 키우는 나무이고, 뒤의 것은 돈 주고 사람과 모종을 사서 넓은 공터에 막 심어 놓은 다양한 꽃들이고요.그래서 앞의 것은 꽃 향기가 마치 향수를 뿌린 것처럼 그윽하여 꿀벌이 헤아릴 수 없이 달려...

 [2024/10/22 19:12]
자다가 깰 때 (로마 13:11~14)
  자다가 깰 때 (로마 13:11~14) - 로마서 묵상 38   ‘깨어남’(혹은 깨달음)이야말로 종교의 모든 것입니다. 그래서인가요,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깨어있을 것을 틈틈이 가르치셨고, 함께 보낸 마지막 날 밤에도 “시험에 들지 않게 깨어있어 기도하라.”(막14:34)라고 이르셨습니다. 사람은 깨어있지 않으면 잠들어 있고 잠들어 있지 않으면 깨어있을 뿐, 이도 저도 아닌 제3의 다른 상태는 있을 수 없습니다. 비몽사몽...

 [2024/10/12 20:10]
권세에 복종하라 (로마 13:1~10)
  권세에 복종하라 (로마 13:1~10) - 로마서 묵상 37   사람은 영(靈)을 모신 육(肉)이 아니라 육을 입은 영입니다. 사람의 중심은 육이 아니라 영에 있습니다. 물론 영과 육이 서로 떨어질 수 없는 한 몸이므로, 이것을 중요시하면서 저것을 가볍게 여길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선후(先後)를 분명히 하는 것이 하나님의 법일진대, 육이 아니라 영의 자리에서 만사를 보고 처리함이 그리스도인의 마땅한 자세입니다. 영...

 [2024/09/12 21:19]
제79주년 광복절
 1945년 8월 15일, 모든 것이 완벽하진 않았지만, 드디어 우리나라는 일본 제국주의의 압제에서 벗어나 감격스러운 해방을 맞이했습니다. 제79주년 광복절을 맞이해서, 우리나라의 독립을 위해 목숨을 바친 분들을 추모하며 기립니다. - 건국절? 이런 개소리로 떠드는 자가 현대판 매국노입니다!      

 [2024/08/17 14:58]
선으로 악을 이기라 (로마 12:14~21)
선으로 악을 이기라 (로마 12:14~21) - 로마서 묵상 36   바울이 ‘로마서’를 쓸 무렵에 이미 본격적으로 기독교 박해가 진행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환란 중에 참으라(12:13)는 바울의 권면은 결코 추상적인 말이 아닙니다. 그 말은 온갖 고초와 박해를 겪은 사람이 하는 말입니다. 따라서 로마서를 비롯한 바울의 편지는 생각으로 거둔 열매이기 전에 경험의 열매입니다. 바울의 서신들을 읽을 때는 이 사실을 염두에 두...

 [2024/08/03 19:47]
12345678910,,,46



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 남명로 234번길 30 (사리 900-60). admin@slowstep.org / Copyright (c) SlowSte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