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천천히
작성일 2023-04-08 (토) 16:17
ㆍ추천: 0  ㆍ조회: 324      
http://slowstep.org/home/?slowstep.2810.21
“ 새 가족 교육 3 ”

 

[1단계] 교회란 무엇인가?

 

3 교회의 기능과 각 기관

 

교회의 기능은 크게 네 가지로 전도와 선교, 교육, 친교, 봉사입니다.

 

전도란 무엇입니까? - 전도란, 그리스도인이 개인적으로 하나님을 아직 모르는 사람에게 예수 그리스도를 전하여, 하나님을 믿고, 하나님과 함께 살아가도록 이끄는 일입니다.

 

반드시 해야 합니까? - , 전도는 반드시 해야 합니다. 교인은 자기가 믿는 예수 그리스도가 얼마나 좋은 구원자이시고, 그분 안에서 누리는 평안과 기쁨이 얼마나 좋은 것인지를 다른 사람들과 함께 나눌 수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교인은, 다른 사람을 그리스도 앞으로 데려오는 일을 해야 합니다.

 

선교란 무엇입니까? - 교회가 아직 예수 그리스도를 모르는 나라와 지역 사람들을 위해서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과 복음을 전하는 모든 행위를 말합니다. 그건 결국 사람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믿게 하는 전도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지만, 전도보다는 좀 더 넓은 뜻과 활동 범위를 말합니다.

 

교육이란 무엇입니까? - 교회(기독교) 교육이란, 교회가 예배와 설교, 성경공부, 봉사 활동 등을 통하여 교인에게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 성경, 기독교 교리, 그리스도인으로서 생활 태도 등을 가르치는 것입니다.

 

교인은 무엇을 배워야 합니까? - 우리가 인격적으로 진실하고 신앙과 삶에 대하여 깊은 이해를 지닌 성숙한 그리스도인으로서 살아가려면, 성경과 교회와 기독교에 대하여 많은 것을 배워야 합니다. 꾸준히 예배를 드리며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를 경외하고 사랑하는 법을 배웁니다. 또 성경을 항상 읽으면서 이 세상과 인간이 살아가는 법을 이해하고, 기독교적인 사상과 가르침을 담고 있는 책들을 부지런히 읽으면서, 좋은 그리스도인과 좋은 사회인으로 살아가려고 힘써야 합니다.

 

친교란 무엇입니까? - 주로 같은 교회를 다니는 교인들이,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서로를 형제자매로 여기며 사랑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서로 사귀고 돌보면서, 서로의 믿음을 격려하고 한 교회의 가족으로 함께 성장해 나가는 일입니다.

 

어떻게 친교해야 합니까? - 교회 안에서나 교회 밖에서나, 만남이 있을 때마다 일상적으로 친교를 나누어야 합니다. 특별히 질병과 사고나 상을 당하여 슬픔과 고통을 겪는 믿음의 형제자매들을 힘써 찾아보고 격려하며, 함께 삶을 나누어야 합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그리스도 안의 형제자매가 삶을 더욱 굳세게 살아가도록 도와줄 수 있습니다.

 

봉사란 무엇입니까? - 교회 안에서 교인들이 서로 돌보고 섬기면서, 유익함을 목적으로 하는 모든 종류의 활동입니다. 또한 봉사란, 교회가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세상에 나아가, 여러 가지 선한 활동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0
3500
남의 하인을 판단하는 너는 누구냐? (로마 14:1~12)
남의 하인을 판단하는 너는 누구냐? (로마 14:1~12) - 로마서 묵상 39   주님이신 예수께서 우리에게 남을 판단하지 말라고 가르치신 데는 그럴만한 이유와 근거가 있습니다. 만일 우리가 예수님처럼 사물을 본다면, 우리에게도 남을 판단할 자격이 있을 겁니다. 그러나 우리는 예수님처럼 보지 못합니다. 그분은 무엇을 보시든지 당신 혼자서 보지 않으시고 하나님과 함께 보십니다. “만일 내가 판단하여도 내 판단이 참...

 [2024/12/07 20:49]
가을꽃
두 곳에 피어 있는 가을 꽃입니다.앞의 것은 우리 교회 정원에 피어 있는 하얀색 ‘목서’ 꽃이고, 뒤의 것은 시천면 입구 지리산 관리사무소 앞에 피어 있는 화려한 꽃입니다.앞의 것은 딱 한 그루지만 정원지기가 정성을 다해 키우는 나무이고, 뒤의 것은 돈 주고 사람과 모종을 사서 넓은 공터에 막 심어 놓은 다양한 꽃들이고요.그래서 앞의 것은 꽃 향기가 마치 향수를 뿌린 것처럼 그윽하여 꿀벌이 헤아릴 수 없이 달려...

 [2024/10/22 19:12]
자다가 깰 때 (로마 13:11~14)
  자다가 깰 때 (로마 13:11~14) - 로마서 묵상 38   ‘깨어남’(혹은 깨달음)이야말로 종교의 모든 것입니다. 그래서인가요,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깨어있을 것을 틈틈이 가르치셨고, 함께 보낸 마지막 날 밤에도 “시험에 들지 않게 깨어있어 기도하라.”(막14:34)라고 이르셨습니다. 사람은 깨어있지 않으면 잠들어 있고 잠들어 있지 않으면 깨어있을 뿐, 이도 저도 아닌 제3의 다른 상태는 있을 수 없습니다. 비몽사몽...

 [2024/10/12 20:10]
권세에 복종하라 (로마 13:1~10)
  권세에 복종하라 (로마 13:1~10) - 로마서 묵상 37   사람은 영(靈)을 모신 육(肉)이 아니라 육을 입은 영입니다. 사람의 중심은 육이 아니라 영에 있습니다. 물론 영과 육이 서로 떨어질 수 없는 한 몸이므로, 이것을 중요시하면서 저것을 가볍게 여길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선후(先後)를 분명히 하는 것이 하나님의 법일진대, 육이 아니라 영의 자리에서 만사를 보고 처리함이 그리스도인의 마땅한 자세입니다. 영...

 [2024/09/12 21:19]
제79주년 광복절
 1945년 8월 15일, 모든 것이 완벽하진 않았지만, 드디어 우리나라는 일본 제국주의의 압제에서 벗어나 감격스러운 해방을 맞이했습니다. 제79주년 광복절을 맞이해서, 우리나라의 독립을 위해 목숨을 바친 분들을 추모하며 기립니다. - 건국절? 이런 개소리로 떠드는 자가 현대판 매국노입니다!      

 [2024/08/17 14:58]
선으로 악을 이기라 (로마 12:14~21)
선으로 악을 이기라 (로마 12:14~21) - 로마서 묵상 36   바울이 ‘로마서’를 쓸 무렵에 이미 본격적으로 기독교 박해가 진행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환란 중에 참으라(12:13)는 바울의 권면은 결코 추상적인 말이 아닙니다. 그 말은 온갖 고초와 박해를 겪은 사람이 하는 말입니다. 따라서 로마서를 비롯한 바울의 편지는 생각으로 거둔 열매이기 전에 경험의 열매입니다. 바울의 서신들을 읽을 때는 이 사실을 염두에 두...

 [2024/08/03 19:47]
한 몸에 여러 지체 (로마 12:4~13)
  한 몸에 여러 지체 (로마 12:4~13) - 로마서 묵상 35   교회를 그리스도의 몸에 견주어 설명한 것은 바울의 뛰어난 지혜입니다. 몸은 생명체입니다. 그러므로 교회는 그 구성원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돼 있어야 하고, 세월과 더불어 성장하고 성숙해야 합니다. 겉이든 속이든 굳어진 교회는 이미 교회가 아닙니다. 생명은 열려 있음이요, 끊임없이 이어지는 변화이기 때문입니다. -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거룩한 산 ...

 [2024/07/06 21:15]
이 세대를 본받지 말고 (로마 12:1~3)
  이 세대를 본받지 말고 (로마 12:1~3) - 로마서 묵상 34   지금(11장)까지 바울은 죄를 지은 인간이 ‘예수 그리스도의 은총과 자신의 믿음으로 구원받는 도(道)’를 설명했습니다. 이제 남은 일은, 그 도를 실천하는 것입니다. 생각해 보십시오. 아무리 자세하게 길을 설명해 주었어도 그대로 가지 않는다면, 앞에 한 모든 설명이 허사로 돌아가고 맙니다. 예수께서도 당신을 보고 “주여, 주여” 하는 자가 천국에 ...

 [2024/06/01 20:06]
깊도다, 하나님의 지혜여 (로마 11:25~36)
깊도다, 하나님의 지혜여 (로마 11:25~36) - 로마서 묵상 33   이방인으로서 그리스도인이 된 사람을, 바울은 좋은 감람나무에 접붙여진 돌 감람나무 가지에 견줍니다. 가지의 자리에서 보면 뿌리가 바뀐 것이요, 뿌리의 자리에서 보면 가지가 달라진 것입니다. 이것은 자연의 법칙에 따른 변화가 아니라, 외부의 힘이 그 법칙을 깨뜨리면서 이루어놓은 변혁입니다. 그리고 그 변혁의 주체는, 나무가 아니라 농부이신 ‘하...

 [2024/04/06 21:06]
높은 마음을 품지 말고 (로마 11:13~24)
  높은 마음을 품지 말고 (로마 11:13~24) - 로마서 묵상 32   유대인들이 복음(예수)을 배척한 결과 바울은 ‘이방인의 사도’가 되었습니다. 이는 스스로 원한 길은 아니었지만 거역할 수 없는 길이었습니다. (여러분은 이런 경험이 있나요?) 그리고 그렇게 된 것에 대해 바울은 영광으로 생각했습니다. 어떻게 그럴 수 있었을까요? ‘모든 것’이 온 세상을 구하시려는 ‘하나님의 크신 섭리’에 따라 이루어졌음을...

 [2024/03/06 21:39]
12345678910,,,47



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 남명로 234번길 30 (사리 900-60). admin@slowstep.org / Copyright (c) SlowSte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