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천천히
작성일 2022-10-08 (토) 14:59
ㆍ추천: 0  ㆍ조회: 322      
http://slowstep.org/home/?slowstep.2728.21
“ 아담과 그리스도 (로마 5:12~19) ”

 

아담과 그리스도 (로마 5:12~19) - 로마서 묵상 16

 

12~14 : 벌레가 나뭇잎 하나를 갉아 먹는 것, 그것은 나무를 갉아 먹는 것입니다. 내 심장에 병이 든 것은 내가 병든 것이고, 따라서 병원에 가는 것은 내 심장이 아니라 자신입니다. 마찬가지로 한 사람이 넘어진 것은 곧 인류가 넘어진 것입니다. ‘인류라는 몸 밖에서 태어난 인간은 없기 때문입니다. - 아담 한 사람으로 말미암아 죄가 세상에 들어왔습니다. 여기서 세상세상 사람들을 가리킵니다. 죄의 값은 죽음입니다. 그래서 마침내 죽음이 모든 사람에게 이르렀습니다. 그런데 중간에 율법이 생겼습니다. 그러나 그것이 죄를 없애주지는 못했습니다. 따라서 사람들은 여전히 죽음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살고 있습니다. 율법은 다만 죄를 죄로 알아보게 할 따름입니다. - 세상 모든 사람이 죽음을 머리에 이고 살아가는데, 그러면서 거기에서 헤어나는 길을 찾지 못해 절망에 빠져 있는데, 그들에게 삶의 길을 보여주고 열어주고 그리로 이끌어줄 한 사람이 나타났습니다. 그는 자신을 가리켜 스스로 사람의 아들(人子)이라고 했습니다. - 죽어가는 사람을 살리려고 사람의 아들이 세상에 태어난 것입니다. 그는 태어나기 전에 이름을 먼저 얻었는데, ‘예수라고 했습니다. 예수는 여호와께서 구원하신다는 뜻을 담은 이름입니다. 그가 세상에서 무슨 일을 어떻게 할 것인지, 그것을 잘 보여주는 인물이 바로 아담입니다. 그래서 아담은 예수의 표상(表象;상징)인 것입니다.

 

15~16 : 아담과 그리스도(예수)는 완전히 같으면서 완전히 다릅니다. ‘모두의 운명을 결정한 하나라는 점에서 같고, 누구는 모두를 죽음으로 이끌고 누구는 모두를 생명으로 이끈다는 점에서 다릅니다. 말하자면 두 사람의 그릇은 똑같은데, 그 속에 담긴 내용이 정반대로 다르다는 얘기입니다. - 그러나 하느님께서 내리시는 은총의 경우와 아담이 지은 죄의 경우는 전연 비교가 되지 않습니다. 아담의 범죄의 경우에는 그 한 사람 때문에 많은 사람이 죽었지만, 하느님의 은총의 경우에는 예수 그리스도 한 사람 덕분으로 많은 사람이 풍성한 은총을 거저 받았습니다. 그러니 하느님의 은총의 힘이 얼마나 더 큽니까! 하느님께서 거저 주시는 은총과 아담의 죄는, 그 효과에 있어서 서로 비교가 되지 않습니다. 아담의 경우에는 그 한 사람 때문에 모든 사람이 유죄 판결의 심판을 받게 되었지만, 은총의 경우에는 죄를 지은 많은 사람이 은총을 거저 입어 무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공동번역)

 

17~18 : 두 사람의 행위가 어떤 결과를 낳았는지 그리고 그것이 어떻게 같은지, 아울러 그 결과의 내용이 어떻게 다른지를 설명합니다. - 예수께서 나는 길이다.” 라고 하신 것은, 나는 하늘에 계신 아버지의 뜻을 따라서 살아가는 사람이라는 말씀입니다. 아담은 죽음을 가져오고 예수는 생명을 주십니다. 이렇게 두 사람은 같으면서 다릅니다.

 

19 : 아담이 선악과를 따서 먹은 것은 하나님의 명령을 어긴 것입니다. 천명(天命)을 어기는 것은 곧 천명을 죽이는 행위입니다. 아무리 준엄한 명령이라 해도 그대로 따르는 자가 없다면 죽은 명이나 마찬가지입니다. 명은 그것을 순종하는 자로 말미암아 살고 불순종하는 자로 말미암아 죽습니다. 아담의 불순종은 천명을 죽인 것이며 따라서 자기를 죽인 것입니다. 반면, 예수께서 십자가를 지신 것은, ‘당신의 뜻을 비우고, 그 자리에 아버지의 뜻이 살게 하신 것입니다. 예수님의 순종은 하나님의 명(天命)을 살린 것이며, 따라서 자기를 살린 것입니다. 죽은 자는 죽음을 낳고, 산 자는 생명을 낳는 법! 그러니 우리는 오늘도 예수 그리스도처럼 순간순간 자기의 뜻을 비우고, 그 자리에 하나님의 뜻이 살게 해야 합니다.

 

 

   
  0
3500
하나님이 불의를 저지르셨나? (로마 9:1~18)
  하나님이 불의를 저지르셨나? (로마 9:1~18) - 로마서 묵상 27   바울은 자신이 이방인을 위하여 하나님께서 따로 세우신 종이라고 늘 생각했습니다. (엡3:8~9) 그렇다면 이스라엘 백성과는 어떤 관계인가요? 바울은 자신이 오직 이방인을 위한 사도요 이스라엘과는 상관없는 존재라고 생각했던가요? - 아닙니다. 오히려 그는 자기 동족인 이스라엘을 위해서라면 저주를 받아 그리스도에게서 끊어져도 좋다고, 극단...

 [2023/08/19 15:02]
아름다운 믿음 (로마 8:31~39)
  아름다운 믿음 (로마 8:31~39) - 로마서 묵상 26   31~32절 : 하나님은 절대(絶對) 한 분이십니다. 아무것도 누구도 그분께 맞설 수 없습니다. 이것은, 하나님이 만물 가운데 가장 힘센 분이기 때문이 아닙니다. 생각해 보십시오. 가장 힘이 센 자는 자기보다 약한 자가 있어서 비로소 존재합니다. 2등이 없이는 1등이 있을 수 없습니다. 그런데 하나님은 당신의 존재를 위하여 누구도 아무것도 필요하지 않습니다. 그래...

 [2023/07/27 21:07]
우리 교회는 오염수 방류를 반대합니다!
이 문제는 세대와 진영을 떠나서 또 초교파적으로 온 국민이 막아내야 할 가장 시급한 문제입니다. "한 번 오염된 바다는 되돌릴 수 없습니다!          

 [2023/06/29 22:10]
탄식하는 피조물 (로마 8:22~30)
  탄식하는 피조물 (로마 8:22~30) - 로마서 묵상 25   자연은 피조물입니다. 인간도 피조물입니다. 따라서 자연과 인간은 하나입니다. 인간은 하나님으로부터 자연을 다스리라라는 책임을 맡은 존재이면서 동시에 그 자연의 일부입니다. 그러나 인간이 전자만 알고 후자를 잊어버린 까닭에, 오늘날 심각한 공해문제와 이에 따른 자연재해가 일어났습니다. 강과 바다가 썩고 물고기가 떼죽음을 당하는 것은, 그들보...

 [2023/06/17 15:04]
새 가족 교육 8
  제2과 그리스도인의 가정과 사회생활   가정은 하나님께서 만드신 작품이며, 인류에게 주신 선물입니다. 그렇기에 가정은 언제나 하나님과 관계를 맺을 때만 진정한 가치가 있습니다. 가정은 교회가 생기기 이전에 있던 가장 작은 단위의 신앙공동체입니다. 하나님은 친히 가정 안에 계시고, 가정을 통하여 하나님의 일을 하십니다. 그러므로 단순한 혈연뿐만 아니라 신앙적 차원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중심으...

 [2023/06/03 20:49]
새 가족 교육 7
  [3단계]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제1과 그리스도인의 삶의 자세   그리스도인의 신앙은 성령에 의해 내면이 변하는 것입니다. 동시에 반드시 생활 속에서 열매로 나타나야 합니다. 복잡하고 다양한 사회 환경 속에서 신앙을 지켜나가기가 쉽지 않지만, 그리스도인답게 사는 것이야말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일입니다.   더욱 성숙한 생활을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합니까? - 경건 생활, 교회 생활, ...

 [2023/05/27 22:14]
새 가족 교육 6
  [2단계] 무엇을 믿는가?   제2과 감리교 교리 (선재적 은총, 성화와 완전, 하나님의 나라)   <감리교 교리의 특징>   선재적(先在的) 은총 ? 장로교에서 말하는 ‘예정론’은 사람이 구원받고 못 받고는 태어나기 전, 이미 예정되어 있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감리교회에서는 하나님의 구원이 ‘선재적 은총’으로부터 시작된다고 믿습니다. 우리가 하나님을 믿는 믿음도, 우리 자신이 만든 것이 아...

 [2023/05/13 15:08]
새 가족 교육 5
  [2단계] 무엇을 믿는가?   제2과 성경, 인간, 죄   성경은 어떤 책입니까? - 성경은 약 1천5백여 년간 40여 명의 저자가 써놓은 글을 한 권으로 묶어놓은 책입니다. 이런 성경이 하나님에 대해, 그리고 우리 사람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을 가르쳐 주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 책은 하나님에 관한 책이며, 인간에 관한 책이고, 하나님과 인간의 만남에 관한 책이기도 합니다. 이 성경이 기록된 목적은 교양이나...

 [2023/05/06 22:13]
새 가족 교육 4
  [2단계] 무엇을 믿는가?   제1과 하나님, 예수 그리스도, 성령   하나님은 어떤 분입니까? - 오직 한 분입니다. 여기에서 한 분이란, 하나님만이 유일하게 존재하는 신이라는 뜻입니다. / 삼위일체이십니다. 하나님은 분명 한 분이지만 한 분 하나님 안에는 성부(聖父), 성자(聖子), 성령(聖靈)의 삼위(三位), 즉 세 격(格)이 존재하십니다. / 영적이며 인격적인 존재이십니다. 하나님은 영이시기에 하나님을 보...

 [2023/04/29 21:09]
아빠 아버지 (로마 8:12~18)
  아빠 아버지 (로마 8:12~18) - 로마서 묵상 24   사람이 살아있다는 것은 반응을 보인다는 것입니다. 죽은 사람은 어떤 일에도 반응을 보이지 않습니다. (우크라이나 전장에서 죽은 군인들과 민간인들. 그러나 과연 그들만 죽은 사람들일까요?) 그런 뜻에서, 사지 멀쩡한 몸으로 돌아다니지만, 과연 ‘살아있는 사람’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의심스러운 사람들이 적지 않습니다. 생각해보십시오. 하늘나라는 살아있...

 [2023/04/20 20:11]
12345678910,,,46



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 남명로 234번길 30 (사리 900-60). admin@slowstep.org / Copyright (c) SlowSte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