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천천히
작성일 2022-04-16 (토) 09:31
ㆍ추천: 0  ㆍ조회: 311      
http://slowstep.org/home/?slowstep.2649.21
“ 소신 ”
 
조선 초 세종 때 ‘어효첨’이라는 충신이 있었습니다. 어효첨은 풍속을 바로잡고 기강을 세우는데 추상같은 관리였습니다. 또한 믿음을 실천하는데 한 치의 틈도 없었습니다. 그가 집현전 교리로 있을 때 풍수지리상 북쪽 길을 막고 성안에 산을 쌓으며 개천을 맑게 해야 한다는 논의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풍수지리설을 믿지 않던 어효첨은 임금께 장문의 상소를 올립니다. “무릇 운수의 길고 짧음과 국가의 화복은 다 천명과 인심에 달린 것이고 실로 풍수지리는 관계가 없는 것입니다. - 그러니 임금께서는 천명으로 주맥(主脈)을 삼고 민심으로 안대(案對)를 삼아서 하늘의 밝은 명령을 돌아보시고 백성의 험악한 반응을 두려워하소서.”

세종 임금이 보아하니 그 논리가 정연하고 명백했습니다. 그래서 세종은 ‘정인지’를 불렀습니다. “효첨의 이론이 그럴듯하오. 그러나 제 부모의 장사에서도 풍수지리를 무시했는지 의심스럽소.” “그렇사옵니다. 전하! 일찍이 효첨이 제 아비를 집 옆에 장사지낸 걸 보았사온데 풍수와 무관하게 묘를 써놓았나이다.” “장하도다! 효첨이 참 선비로다.” 그가 세상을 떠나자 자식들은 유지를 받들어 광나루 가에 장사를 지냈습니다. 이런 그의 소신과 원칙은 조선 초기 나라의 기틀을 다지는데 밑거름이 되었습니다.

소신(所信)이란, ‘굳게 믿는 바 또는 자기가 확실하다고 굳게 생각하는 바.’입니다. 우리가 갖추어야 할 덕목 가운데 하나이지만 때로는 엄청난 용기가 필요한 덕목이기도 합니다. 교회는 물론이요 세상 곳곳에서는 지금도 용기와 소신을 두루 갖춘 한 사람을 간절히 찾고 있습니다. 신앙과 삶의 정당성을 굳게 지키고, 그 정당성을 이루어 가는 한 사람이 바로 당신이기를 바랍니다.
(그림 : 외젠 뷔르낭)
 
 
 
 
 
 
 
   
  0
3500
육신의 생각은 사망이요.. (로마 8:1~11)
  육신의 생각은 사망이요.. (로마 8:1~11) - 로마서 묵상 23   하나님께서는 그리스도 예수를 보내시어 바울을 ‘사망의 몸’(죄를 지어 죽게 된 몸)에서 건지셨습니다. 이로써 바울은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존재’가 되었습니다. 하나님께서 당신의 외아들을 세상에 보내신 것은, 지금 이 자리에 서서 설교하고 있는 저를 ‘사망의 몸’에서 건지기 위해서였습니다. 그리고 설교를 듣고 있는 여러분을 위해서...

 [2023/04/01 20:54]
새가족 교육 2
[1단계] 교회란 무엇인가?   제2과 교회 안에서 이루어지는 일들   예배란 무엇입니까? - 예배란, 그리스도를 주님으로 믿고 고백하는 그리스도인들이, 일정한 순서에 따라 마음을 다하여 교우들과 함께, 우리의 창조자이시고, 인도자이시고, 섭리자이신 하나님께 믿음을 고백하며 찬미하고 경배하는 종교적 행위입니다.   예배를 어떻게 드려야 합니까? - 기독교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부활하신 일요일을 ...

 [2023/03/23 09:38]
새 가족 교육 1
  [1단계] 교회란 무엇인가?   제1과 교회   이 세상 각 나라에는 수많은 교회가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를 ‘주(主)’로 믿고 고백하고 배우고 따르는 ‘그리스도인들의 모임’이기 때문에 온 세상에 있는 교회는 사실상 하나입니다.   교회란 무엇입니까? - 교회란,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아 예수 그리스도를 하나님의 아들(독생자), 세상(나)의 구세주로 믿고, 예배와 삶을 통...

 [2023/03/15 20:19]
오호라, 나는 곤고한(비참한) 사람이로다 (로마 7:18~25
  오호라, 나는 곤고한(비참한) 사람이로다 (로마 7:18~25) - 로마서 묵상 22   바울은 한 입으로 그(極)과 극(極)을 이루는 두 가지 고백을 합니다. 하나는 갈라2:20의 고백이고, 다른 하나는 로마7:19~20의 고백입니다. 그런데 이것은 ‘모순’이 아닌가요? 그렇습니다. 바울은 이 모순(矛盾)을 한 몸에 지니고 살아간 사람이었습니다.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그 모순을 극복한 사람이었습니다. (우리도 모순덩어...

 [2023/02/25 14:55]
율법과 거울 (로마 7:7~17)
  율법과 거울 (로마 7:7~17) - 로마서 묵상 21   여기 도둑질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만일 도둑질하지 말라는 법(法)이 없다면, 그는 죄를 지으면서 자기가 죄를 짓고 있다는 사실을 모를 것입니다. 그러니 “법이 그를 죄인으로 만들었다”고 해도 틀린 말은 아닙니다. 그러나 과연 사람이 죄를 지시게 하는 것이 법일까요?   7~8절 : 거울은 얼굴에 묻은 걸 보여줄 뿐입니다. 거울을 치운다고 해서 얼굴에 묻은 게...

 [2023/02/04 14:59]
사망에서 영생으로 (로마 6:19~23)
  사망에서 영생으로 (로마 6:19~23) - 로마서 묵상 20   구원에 있어서는, ‘죽음’ 아니면 ‘삶’입니다. 거듭 말하거니와 어중간은 없습니다. 사람은 둘 가운데 하나를 택해야 합니다. 그런데 죽음은 죄(罪)와 통하고 생명은 의(義)와 통합니다. 여기서 바울이 말하는 ‘죽음’은 단순한 육신의 사망이 아닙니다. 마찬가지로 그가 말하는 ‘생명’은 죽어도 죽지 않는 영생(永生)입니다.   19절 : “육신이 연...

 [2023/01/07 15:14]
죄에 죽고, 하나님께 살고 (로마 6:10~18)
  죄에 죽고, 하나님께 살고 (로마 6:10~18) - 로마서 묵상 19   “성인(聖人)은 참회하고 범인(凡人)은 후회한다”고 했습니다. 참회나 후회나 그 말이 그 말이겠지만, 성인은 단 한 번 뉘우치고 범인은 두고두고 뉘우친다는 뜻입니다. - 사람은 누구나 한번 태어나서 한번 죽거니와, 예수님이 십자가에 돌아가셨다가 다시 살아나신 일 또한 ‘단 한 번’ 있었던 일입니다.   10절 : 그분의 죽으심과 살아나심은 따...

 [2022/12/07 19:10]
죄에 대하여 죽은 몸 (로마 6:1~9)
  죄에 대하여 죽은 몸 (로마 6:1~9) - 로마서 묵상 18   인간의 죄가 없다면 하나님의 은혜도 없었을 것입니다. 어둠을 겪어보지 못한 사람이 과연 빛을 알 수 있을까요? - 그렇다면 우리는 더 많은 은혜를 경험하기 위해 더 많은 죄를 지어야 하는 건가요?   1절 : 이런 주장을 하는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 - 틀림없이 탁상공론(卓上空論)을 즐기는 사람일 것입니다. 호사스러운 곳에서 술과 음식을 먹으며, 전쟁...

 [2022/11/11 20:16]
율법과 범죄 (로마 5:20~21)
  율법과 범죄 (로마 5:20~21) - 로마서 묵상 17   법(法)이 좋은 것인 줄 누가 모르겠습니까? 그러나 사람이 자신의 의지만으로 그 법을 지킬 수 없으니 딱한 일입니다. 나아가 천지 만물 가운데 홀로 인간만이 하나님의 법(명령)을 어길 수 있고 여태 어겨 왔으며 지금도 어기고 있습니다. 그런데 법이 없다면 법을 어기는 일 또한 없을 것입니다. “율법이 탐내지 말라 하지 아니하였더라면 내가 탐심을 알지 못하였...

 [2022/10/29 19:47]
아담과 그리스도 (로마 5:12~19)
  아담과 그리스도 (로마 5:12~19) - 로마서 묵상 16   12~14절 : 벌레가 나뭇잎 하나를 갉아 먹는 것, 그것은 나무를 갉아 먹는 것입니다. 내 심장에 병이 든 것은 내가 병든 것이고, 따라서 병원에 가는 것은 내 심장이 아니라 ‘나’ 자신입니다. 마찬가지로 한 사람이 넘어진 것은 곧 인류가 넘어진 것입니다. ‘인류’라는 몸 밖에서 태어난 ‘인간’은 없기 때문입니다. - 아담 한 사람으로 말미암아 죄가 세상에 들...

 [2022/10/08 14:59]
12345678910,,,46



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 남명로 234번길 30 (사리 900-60). admin@slowstep.org / Copyright (c) SlowStep. All rights reserved.